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06 16:01 수정 : 2005.11.06 16:01

제2창당 수준 환골탈태 필요, ‘큰 판 벌이자’는 공감대 확산

열린우리당의 당권 향배를 가를 내년 2월 전당대회의 성격이 `정기 전대'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당이 명실상부하게 거듭나려면 조직의 `밑둥'부터 갈아치우는 `대수술'이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당내 의견이 수렴되고 있는 것.

당의 얼굴만 바뀌는 차원의 `리모델링'이 아니라 대의원에서부터 당원협의회장, 중앙위원회, 상임중앙위원단으로 이어지는 당 조직 전체가 제2창당 수준으로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위기를 탈출할 수 있다는 상황인식이 깔려있는 셈이다.

여기에는 당 조직 쇄신과 함께 당권경쟁의 `판' 자체를 키움으로써 흐트러진 당의 구심력을 회복하고 내년 지방선거에 총력대응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적 판단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차기 유력주자로 분류되는 정동영 통일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 장관이 당권경쟁의 전면에 나서는 `빅매치' 성사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됐다.

임명권자인 노무현 대통령이 당사자 결정 원칙을 표명함으로써 `족쇄'를 풀어준데 이어, 당에서도 확실히 `판'을 벌려준 셈이기 때문이다. 당의 핵심관계자는 "차기주자들이 올인해도 좋을 만큼의 상금이 걸린 셈"이라고 말했다.

과도체제의 수장인 정세균 의장측도 두 장관의 `빅매치'을 선호하고 있다. 그만큼 전대의 `흥행성'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당의장 선출방식을 2002년 민주당 대선경선처럼 시.도를 순회하면서 투표를 진행하는 방식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여권의 차기주자들이 전국을 순회하며 언룸출 빈도를 늘려나가면 국민적 관심이 자연스럽게 고조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유리하게 끌고갈 수 있다는 전략적 고려를 바탕에 둔 것이다.


당내에서 지도부 임기를 1년으로 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번 경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2007년 초 당내 대선 후보 경선이 열리면 자연스럽게 당권.대권 분리 주장이 나올 수 밖에 없어 이번에 당선된 지도부의 임기는 실질적으로 1년에 국한될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하지만 임기를 1년으로 줄이더라도 이번에 당권을 장악하는 측이 차기 경쟁구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번에 `빅매치'가 성사될 경우 차기 대권고지를 향후 조기 경선의 성격을 띨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역설적이지만 이 같은 이유에서 `빅매치' 반대론도 나오고 있다. 양쪽이 사활을 건 승부를 벌이게 되면 당내 갈등이 증폭되면서 도리어 당에 역풍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기간당원제도 개선과 관련한 당헌.당규 개정을 둘러싼 갈등과 함께 당권 경쟁의 가열이 당을 극심한 내홍으로 밀어넣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당 일각에서 이번 전대가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측면이 강한 만큼 차기주자들을 놔두고 관리형 지도부 또는 40대 의원들을 내세우자는 주장이 남아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결국 이번 전대의 성격이 정기 전대로 최종 확정된다면 우리당으로서는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을 함께 안은 결정적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봐야한다는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