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11 21:11 수정 : 2005.11.11 21:11

11일 전남 무안에서 열린 전남도청 새청사 개청식에 참석한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왼쪽)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한화갑 민주당 대표. 무안/국회사진기자단

‘새 술’로 지방선거 넘고 ‘새 부대’로 대선 뚫자


11일 창당 2돌을 맞은 열린우리당이 ‘통합을 통한 확대’를 화두로 잡고 나섰다. ‘제2의 창당’을 외쳐온 정세균 의장이 이날 기념사에서 밝힌 일정(로드맵)에서 나타난 흐름이다.

당내에선 이른바 ‘2단계 방법론’이 얘기된다. 먼저 전당대회와 지방선거 국면에서 적극적으로 외부인사와 새로운 세력을 영입한 뒤, 여세를 몰아 이리저리 갈라진 민주세력들을 다시 결집하자는 것이다. 당직을 맡고 있는 한 의원은 이를 ‘통합을 통한 확대’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정 의장이 기념사를 통해 밝힌 일정을 보면, 이달 말까지 새로운 강령의 초안이 마무리된다. 새 강령은 ‘나눔(분배) 속의 발전’과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시장경제’(사회통합적 시장경제)를 핵심 개념으로 하고 있다.

당내의 ‘뜨거운 감자’였던 당헌·당규 개정은 12월 초부터 시작된다. 당비를 내는 각 지역의 기간당원들이, 지방선거 등 공직자선거 후보 선출을 좌우하는 지금의 제도(당헌)로는 ‘전략공천’ 등이 쉽지 않다는 논리다. 결국 당헌·당규 개정도 외부인사 영입과 밀접하게 연관돼있다.

아울러, 곧바로 외부인사 영입을 위한 ‘인재발굴기획단’이 만들어져 활동에 들어간다. 인재기획단의 임무는 일차적으로 지방선거에 투입될 새로운 인물의 발굴이다.

당 관계자는 “서울시장 영입 1순위로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이 꼽히고, 추미애 전 의원도 오르내린다”고 전했다. 김두관 대통령 정무특보는 거듭 ‘강금실 영입론’을 역설하고 있다.

외부 인물을 당 의장에 내세우자는 얘기도 간혹 흘러나온다. 오영식 원내공보부대표는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한다면 참신한 새 인물이 당의장으로 나오지 말란 법도 없다”고 말했다.

최근 열린우리당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단연 ‘통합’이다. ‘민주당과의 합당’에 대해선 거부감이 적지 않지만, ‘통합’ 자체에 대해선 함부로 이의를 달지 못하는 분위기다. 문제는 방법이다. 단순히 민주당과 합치는 것만으로는 명분과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높아지면서 제반 민주·평화·개혁세력의 연합전선을 형성하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어가고 있다.


이날 당 기획위원장에 새로 선임된 민병두 의원은 ‘통합의 개혁론’을 폈다. 그는 당장 추구해야 할 통합 대상으로 △영남 민주화세력 △노동·시민세력 △전통적 재야민주화세력 그리고 △이른바 ‘엑스(X)세대’와 ‘싸이세대’를 꼽았다. 영남 민주화세력과 손잡고 전국정당을 지향하면서 개혁과 미래를 아울러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 의원은 “이런 연대를 만들어내면서 민주당이나 중부권신당에 ‘당신들은 한나라당과 우리 사이에서 좌고우면할 것인가’를 물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른바 ‘뉴라이트’와 한나라당의 연대에 대한 여권의 위기의식도 이런 움직임을 촉진한 것 같다. 임종석 의원은 “한나라당과 뉴라이트의 연합은 이른바 ‘보수대연합’의 부활로 볼 수 있다”며 “이에 맞설 수 있는 민주·평화세력의 대통합은 당연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