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21 15:53 수정 : 2005.11.21 15:53

잇단 악재에 곤혹..통합론 `주춤'

"왜 이리 악재만 터지나." 김대중(DJ)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 2차장을 지낸 이수일 호남대 총장의 자살소식을 접한 열린우리당 호남지역 출신 의원들은 21일 곤혹감 속에서 극도로 말을 아꼈다.

임동원.신 건 전 국정원장 구속을 계기로 지역민심이 격해질 대로 격해진 상황에서 또 다시 돌발악재가 터져나와 여권에 대한 민심이반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지 않을까 우려하는 표정이 이들의 얼굴에 역력히 드러나고 있다.

겉으로는 "지역은 의외로 차분하다" "일희일비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하면서도 이대로 가다가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신들의 입지가 크게 약화될 것이란 위기감에 가위눌려 있는 모습이다.

주승용 의원은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검찰수사의 형평성 문제에 전 국민이 의아해하고 있고 호남 쪽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말로 지역 분위기를 전했다.

양형일 의원은 "지역은 의외로 가라앉아있는 것 같더라"며 "형평성 문제로 지역민심이 편치 못한 상황에서 또 악재가 터져 곤혹스러울 따름"이라고 고개를 떨궜다.

양 의원은 그러면서 김영삼(.YS) 정부 시절 불법도청 사건 쪽으로 화살을 돌리며 "과거의 불법도청 행위에 대해 완전히 면죄부를 준다는것이 말이 되느냐"면서 "역사적.도의적.정치적 책임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호남의원들 사이에서는 DJ정부 시절의 도청수사를 `편파적'으로 규정하거나 호남민심과 연결지으려는 시각 자체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지병문 의원은 "대단히 불행한 일이지만 이런 일이 자꾸 생길 때마다 DJ와 노무현 대통령이 갈등을 일으키는 것처럼 감성적 내지 감정적으로 접근해선 안될 것"이라며 "당시 그런 일이 있었다면 당연히 법에 따라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을 묻고 그 다음에 국민 판단에 맡겨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상황이 어렵게 돌아가자 일부 호남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돼온 민주당과의 통합논의는 일단 주춤해지는 듯한 분위기다.

우리당과 민주당 소속 일부 호남의원들은 26일 모처에서 1박2일 일정으로 만나 통합론을 화두로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었지만 이를 전격 취소했다.

이영호 의원은 "시점이 미묘한 지라 없었던 일로 하기로 했다"며 "잠정적으로 연기한 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통합론 공론화에 앞장섰던 염동연 의원은 "노 코멘트"라며 함구했지만 당혹스런 표정이 역력했다.

이 같은 분위기와는 대조적으로 민주당 쪽 호남의원들은 현 정권을 향해 더욱 날을 세우는 표정이다.

이정일 의원은 "국정 우선순위로 볼 때 중요한 것이 많은데 국정원 도청이 끼여있다는게 말이 되느냐"며 "이 정부는 더이상 `립 서비스'만 하지 말고 지역사업과 호남발전을 위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