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치실천연대 김희숙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시행한 지 1년밖에 안된 상태에서 국회의원이 당원협의회장 조직을 다시 흡수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고 지방선거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내일 중앙위에서 반대입장을 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계파간 갈등은 다음달 2일 또는 3일로 예정된 중앙위에서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 지도부는 ▲기간당원제 개선 ▲중앙위원회 권한 재조정 ▲`투톱시스템' 정비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개정안을 중앙위에 상정, 공론화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친 정동영계를 중심으로 한 당내 주류세력과 참정연측이 가파른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재야파가 중간지점에서 `절충역'을 모색하고 있는 형국이다. 때문에 내년 2월로 잡힌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세대결이 당헌.당규 개정과정에 투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
여 ‘당헌개정’ 계파간 신경전 |
열린우리당이 23일 소집하는 중앙위원회를 계기로 당헌.당규 개정을 둘러싼 계파간 신경전이 고개를 들 조짐이다.
물론 의제 자체가 당내 논란의 중심에서 비켜나있는 당원협의회 선출문제이지만 이 역시 당헌개정 사항이어서 추후 본격적인 `당헌 수술'을 앞두고 전초전 양상이 전개될 것이란 예상이다.
당 지도부의 구상은 현재 행정구역별로 선출토록 돼있는 당원협의회장을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뽑자는 것이다. 지난 6월 정당법 개정에 따라 당원협의회가 법적인 공식 지위를 얻었고 국회의원 지역구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 점을 적극 반영하자는 취지라는게 당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당 관계자는 "친목회처럼 운영되는 것을 탈피해 명실상부한 정당조직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선거구별로 돼있는 국회의원 조직단위와 행정구역별로 돼있는 당원협의회 조직단위가 어긋나 있는 `괴리'를 현실에 맞게끔 조정해보겠다는 의도도 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당헌이 개정되면 당원협의회장의 숫자가 현재 시.군.구 기초단체에서 선출된 234명에서 300명(선거구별 243명에 복합선거구 선출 당원협의회장 추가)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이를 두고 당의 밑둥을 이루는 지방조직인 당원협의회에 대한 국회의원의 영향력 확대를 노린 것 아니냐는 비판적 시각이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또 당원협의회장이 내년 지방선거 경선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행정구역별로 돼있는 현 체제가 지방선거 대응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참여정치실천연대 김희숙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시행한 지 1년밖에 안된 상태에서 국회의원이 당원협의회장 조직을 다시 흡수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고 지방선거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내일 중앙위에서 반대입장을 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계파간 갈등은 다음달 2일 또는 3일로 예정된 중앙위에서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 지도부는 ▲기간당원제 개선 ▲중앙위원회 권한 재조정 ▲`투톱시스템' 정비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개정안을 중앙위에 상정, 공론화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친 정동영계를 중심으로 한 당내 주류세력과 참정연측이 가파른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재야파가 중간지점에서 `절충역'을 모색하고 있는 형국이다. 때문에 내년 2월로 잡힌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세대결이 당헌.당규 개정과정에 투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참여정치실천연대 김희숙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시행한 지 1년밖에 안된 상태에서 국회의원이 당원협의회장 조직을 다시 흡수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고 지방선거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내일 중앙위에서 반대입장을 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계파간 갈등은 다음달 2일 또는 3일로 예정된 중앙위에서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 지도부는 ▲기간당원제 개선 ▲중앙위원회 권한 재조정 ▲`투톱시스템' 정비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개정안을 중앙위에 상정, 공론화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친 정동영계를 중심으로 한 당내 주류세력과 참정연측이 가파른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재야파가 중간지점에서 `절충역'을 모색하고 있는 형국이다. 때문에 내년 2월로 잡힌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세대결이 당헌.당규 개정과정에 투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