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15 10:54 수정 : 2005.12.15 10:54

한나라당은 15일 열린우리당 이광재(光) 의원이 검찰조사 결과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삼성이 매입한 800억원대 채권 중 5억~6억원 가량을 현금화해 대선자금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공소시효가 지난 뒤에야 끼워넣기 식으로 검찰이 발표했다"며 "명백한 봐주기 수사"라고 맹비난했다.

한나라당은 "대선자금 불공정 수사의 빙산의 일각이 드러난 것에 불과하다"면서 "검찰은 나머지 대선채권의 향방은 물론 이 의원의 개인유용 의혹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나라당의 이 같은 강경한 자세에는 최근 사학법 국회통과와 관련, 장외 대여투쟁을 벌이고 있지만 기대만큼의 국민적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나오는 상황에서 이번 사태를 `호재'로 삼아 여권의 도덕성을 공격하면서 대여투쟁의 전열을 가다듬겠다는 전략도 녹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인 이 의원이 내년 강원지사 출마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나라당의 `준텃밭'인 강원을 지켜내기 위해 이 후보를 맹공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강재섭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이 이 의원을 상황이 어지러운 때 공개 소환하고 적당히 마무리해 내년 강원지사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라며 "공소시효가 완성된 순간 불러내고, 이 의원도 자백하는 식으로 해서 떨어내는 대바겐세일"이라고 비판했다.

강 원내대표는 "검찰이 우리당 사람 세탁하는 세탁소도 아니고 이런 식으로 하면 안된다. 정신차려야 한다"고 꼬집고, "검경 수사권 문제도 있는데 검찰은 의연한 자세로 정치권의 눈치를 보지 않는 검찰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병수 정책위의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500억원 가까운 채권 중 일부를 이 의원이 받은 것으로 드러난 만큼 나머지도 제대로 밝혀야한다"고 말했다.

지난 2003~2004년 대선자금 수사 당시 검찰과 정권의 유착의혹을 제기한 권영세 의원은 "검찰이 대선자금 수사 당시 삼성채권 번호가 확보돼 있음에도 왜 계좌추적을 하지 않다가 올해 8월이 돼서야 뒤늦게 시작했는지와, 그 이유가 이 의원이 당시 권력실세였기 때문인지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며 검찰을 압박했다.


나경원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브리핑을 통해 "이 의원이 2002년 5월에 돈을 받았다면 올해 5월까지만 수사했어도 처벌대상이 되는데도 (이제야 조사한 것은) 검찰의 공정수사 의지를 의심스럽게 한다"면서 "불공정한 대선자금 수사의 빙산의 일각으로 앞으로 이와 관련한 조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한다"고 말했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