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06 18:18 수정 : 2019.02.06 19:21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왼쪽 세번째)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북핵외교안보특별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전당대회 베트남 북미 정상회담과 겹쳐
당권주자들 “컨벤션효과 묻힌다” 연기 요구
당, 일정 조정 검토…변경 어렵다는 지적도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왼쪽 세번째)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북핵외교안보특별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의 새 대표를 뽑는 2·27 전당대회 날짜가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일정(27~28일)과 겹치자 한국당에 ‘비상’이 걸렸다. 전당대회 효과가 북-미 정상회담에 묻힐 우려 때문이다. 당권 주자 대부분은 전당대회 연기를 요청했고, 당은 일정 변경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한국당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인 김석기 의원은 6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8일 선관위 회의에서 일정 변경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며 앞서 7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도 우선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황교안 전 국무총리, 홍준표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이 전당대회에 나서기로 하면서 모처럼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당 지지율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최고치로 올랐다. 여세를 몰아 전당대회 같은 정치 이벤트를 통해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컨벤션 효과’를 노렸으나,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북-미 정상회담과 일정이 겹치면서 이런 기대가 무너질 상황에 놓였다.

그러자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지난해 지방선거 하루 전 싱가포르에서 (제1차) 미-북 회담이 개최된 것과 같은 모습이다. 당은 전당대회를 한달 이상 미루어 지방선거 때처럼 저들의 책략에 당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당의 중요 행사가 외부 요인으로 영향 받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밝혔고 심재철·정우택·주호영·안상수·김진태 의원 등 다른 출마자들도 연기를 주장했다. 황교안 전 총리는 “일정대로 가는 게 바람직하지만 당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하면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당에서는 일정 변경 여부를 검토하겠지만 확정된 장소·일정을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분위기도 있다. 당 선관위의 한 관계자는 “합동연설회, 텔레비전 토론 등 일정이 복잡하고, 장소 섭외가 특히 어렵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협조도 다 마쳤는데 새로 또 하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전당대회는 후보 간 유불리가 있어 정해진 수순대로 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