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역시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였지만 철저한 검증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셌다. 줄기세포 진위논란 속에 황 교수를 문병하기도 했던 박근혜 대표는 "믿기지 않으니 상황을 더 확인해야 한다는 마음뿐"이라며 "충격과 의혹이 있는 만큼 이런 부분이 어떻게 해소되는 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고 측근들이 전했다. 서병수 정책위의장은 "국민 모두가 충격받았겠지만 이로써 과학계가 위축돼선 안된다"며 "연구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과학계에서 밝혀야 하는 만큼 정치권이 나서 이러쿵 저러쿵 얘기하는 것은 과학 장래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황우석과 함께하는 의원모임'과 `난자기증잔'에서 활동한 송영선 의원은 "사실이라면 과학자가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모르겠다"며 실망감을 토로했다. 보건복지위 간사인 박재완 의원은 "정부가 황 교수의 연구 성과에 도취돼 직접 지원하는 연구의 검증절차를 소홀히 했다"며 "특히 박기영 청와대 과학기술 보좌관은 황 교수 논문의 공저자로서 진위논란이 불거졌을 때 이해관계가 개입돼 조사가 불가능했던 측면이 있다"며 박 보좌관의 파면을 요구했다. 박 의원은 또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며 황 교수의 복제소인 `영롱이'와 2004년 줄기세포 관련 논문 등에 대해 철저한 재검증을 할 것과 과학기술 연구시스템 및 관련 정책과 제도의 보완을 촉구했다.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과학적 문제는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해 해결해야 한다"며 "지금 황 교수를 마녀사냥식으로 몰거나 무조건 옹호하는 것은 옳지 않고, 황 교수 스스로 신속ㆍ명확히 진실을 밝히는 게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ㆍ절차적 문제점을 꾸준히 지잊온 민주노동당은 정부내 관련 책임자들의 문책을 요구하는 등 가장 분명한 입장을 보였다. 권영길 대표는 의원단총회에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난치병 환자들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가 중단되지 않고 윤리적 문제 없이 더 활성화 되길 바란다"며 "그러나 성과를 위해 절차나 기준을 무시하는 것은 경계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대표는 "정부의 정책운영 시스템의 문제점을 밝히고 특히 BT(생명공학) 산업 전반을 재점검하고, 정치권 차원의 대책을 각당에 촉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승우 정윤섭 기자 leslie@yna.co.kr (서울=연합뉴스)
|
‘줄기세포 파문’…정치권 충격속 신중론 |
여야는 16일 `사이언스' 논문에 실린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가 실제로는 없을 수도 있다는 소식이 일파만파로 번지자 대체로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정치권이 먼저 흥붕서는 사태해결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는 만큼 황 교수 본인의 해명과 과학계의 검증 과정 등 향후 사태의 추이를 좀더 신중하게 지켜본 뒤 분명한 입장과 대책을 내놓겠다는 것이다.
`황우석 지원특위'까지 구성했던 열린우리당은 당혹감 속에서도 차북고 조심스런 대응에 나서는 모양새다.
정세균 의장 겸 원내대표는 비상집행위원회의에서 "아직 사실 확인이 안된 만큼 이에 대한 당 입장을 얘기하는 것은 성급한 것 같다"며 "사실이 밝혀진 후 당의 입장을 말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이호웅 비상집행위원은 "언론이 신중하고 진지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황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와 관련해 부정적인 면이 드러났지만 성과로 볼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세심하게 살펴 공동의 자산으로 살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윤원호(尹) 비상집행위원은 "나라 일 때문에 잠을 제대로 못잔게 이번이 처음"이라며 "보도 내용이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황 교수가 우선 입장을 밝혀야 하고, 이런 때일수록 사회 전반적으로 차분히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황우석특위 소속 양형일 의원은 "줄기세포가 아예 없다는 것은 정말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서 황 교수에 대해 "최후의 진실을 말할 수 있는 만큼 입을 열어 진실 그대로를 국민에게 이야기할 때"라고 당부했다.
국회 과기정위 간사인 홍창선 의원은 "외환위기 사태가 나라에 큰 악재였지만 결국 보약이 됐다"며 "황 교수 논란이 사회에 주는 충격이 크겠지만 과학계 발전과 사회 전반의 논의에 도움이 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역시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였지만 철저한 검증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셌다. 줄기세포 진위논란 속에 황 교수를 문병하기도 했던 박근혜 대표는 "믿기지 않으니 상황을 더 확인해야 한다는 마음뿐"이라며 "충격과 의혹이 있는 만큼 이런 부분이 어떻게 해소되는 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고 측근들이 전했다. 서병수 정책위의장은 "국민 모두가 충격받았겠지만 이로써 과학계가 위축돼선 안된다"며 "연구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과학계에서 밝혀야 하는 만큼 정치권이 나서 이러쿵 저러쿵 얘기하는 것은 과학 장래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황우석과 함께하는 의원모임'과 `난자기증잔'에서 활동한 송영선 의원은 "사실이라면 과학자가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모르겠다"며 실망감을 토로했다. 보건복지위 간사인 박재완 의원은 "정부가 황 교수의 연구 성과에 도취돼 직접 지원하는 연구의 검증절차를 소홀히 했다"며 "특히 박기영 청와대 과학기술 보좌관은 황 교수 논문의 공저자로서 진위논란이 불거졌을 때 이해관계가 개입돼 조사가 불가능했던 측면이 있다"며 박 보좌관의 파면을 요구했다. 박 의원은 또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며 황 교수의 복제소인 `영롱이'와 2004년 줄기세포 관련 논문 등에 대해 철저한 재검증을 할 것과 과학기술 연구시스템 및 관련 정책과 제도의 보완을 촉구했다.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과학적 문제는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해 해결해야 한다"며 "지금 황 교수를 마녀사냥식으로 몰거나 무조건 옹호하는 것은 옳지 않고, 황 교수 스스로 신속ㆍ명확히 진실을 밝히는 게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ㆍ절차적 문제점을 꾸준히 지잊온 민주노동당은 정부내 관련 책임자들의 문책을 요구하는 등 가장 분명한 입장을 보였다. 권영길 대표는 의원단총회에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난치병 환자들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가 중단되지 않고 윤리적 문제 없이 더 활성화 되길 바란다"며 "그러나 성과를 위해 절차나 기준을 무시하는 것은 경계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대표는 "정부의 정책운영 시스템의 문제점을 밝히고 특히 BT(생명공학) 산업 전반을 재점검하고, 정치권 차원의 대책을 각당에 촉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승우 정윤섭 기자 lesli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나라당 역시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였지만 철저한 검증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셌다. 줄기세포 진위논란 속에 황 교수를 문병하기도 했던 박근혜 대표는 "믿기지 않으니 상황을 더 확인해야 한다는 마음뿐"이라며 "충격과 의혹이 있는 만큼 이런 부분이 어떻게 해소되는 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고 측근들이 전했다. 서병수 정책위의장은 "국민 모두가 충격받았겠지만 이로써 과학계가 위축돼선 안된다"며 "연구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과학계에서 밝혀야 하는 만큼 정치권이 나서 이러쿵 저러쿵 얘기하는 것은 과학 장래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황우석과 함께하는 의원모임'과 `난자기증잔'에서 활동한 송영선 의원은 "사실이라면 과학자가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모르겠다"며 실망감을 토로했다. 보건복지위 간사인 박재완 의원은 "정부가 황 교수의 연구 성과에 도취돼 직접 지원하는 연구의 검증절차를 소홀히 했다"며 "특히 박기영 청와대 과학기술 보좌관은 황 교수 논문의 공저자로서 진위논란이 불거졌을 때 이해관계가 개입돼 조사가 불가능했던 측면이 있다"며 박 보좌관의 파면을 요구했다. 박 의원은 또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며 황 교수의 복제소인 `영롱이'와 2004년 줄기세포 관련 논문 등에 대해 철저한 재검증을 할 것과 과학기술 연구시스템 및 관련 정책과 제도의 보완을 촉구했다.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과학적 문제는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해 해결해야 한다"며 "지금 황 교수를 마녀사냥식으로 몰거나 무조건 옹호하는 것은 옳지 않고, 황 교수 스스로 신속ㆍ명확히 진실을 밝히는 게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ㆍ절차적 문제점을 꾸준히 지잊온 민주노동당은 정부내 관련 책임자들의 문책을 요구하는 등 가장 분명한 입장을 보였다. 권영길 대표는 의원단총회에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난치병 환자들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가 중단되지 않고 윤리적 문제 없이 더 활성화 되길 바란다"며 "그러나 성과를 위해 절차나 기준을 무시하는 것은 경계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대표는 "정부의 정책운영 시스템의 문제점을 밝히고 특히 BT(생명공학) 산업 전반을 재점검하고, 정치권 차원의 대책을 각당에 촉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승우 정윤섭 기자 leslie@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