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19 10:38 수정 : 2005.12.19 10:38

등원 최후통첩..한 부산서 장외집회

열린우리당이 19일 민생현안 처리를 위한 임시국회 강행방침을 최후통첩한 가운데 한나라당은 이를 거부한 채 장외투쟁을 지속키로 함에 따라 여야간 대치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당은 금주중 민주.민노당과 공조해 임시국회를 부분 가동, 폭설피해대책과 새해 예산안 등 시급한 민생현안을 처리한다는 방침이지만 한나라당의 강경기조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어 국회 파행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조짐이다.

이런 첨예한 대치 속에서 이날 국회 예결위 법안심사소위 및 계수조정소위와 법사위, 행자위 전체회의가 우리당과 민노당 의원들만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 형식으로 파행운영되는 등 임시국회는 사실상 8일째 공전했다.

우리당 정세균 의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위헌사태에 있는 새해 예산안과 폭설피해대책, 다른 현안 처리를 위해 더 이상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으며 행동할 수밖에 없다"면서 "오늘부터 다른 정파들과 현상타개를 위한 대책을 진지하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전병헌 대변인도 "우리는 인내할 수 있지만 국민과 민생의 인내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이것이 한나라당에 보내는 마지막 설득과 압박"이라며 한나라당 불참속 임시국회 강행방침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번 날치기 처리한 사학법이 무효화되기까지 국회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것은 기정사실"이라면서 "`민생 중하다'는 말이 진정이라면 열린우리당은 지금이라도 사학법을 무효화하면 된다"며 `선 사학법 해결, 후 등원' 방침을 분명히 했다.

강재섭 원내대표도 "열린우리당은 입이 열개라도 민생현안을 얘기할 자격이 없다"면서 "사학법 날치기 처리라는 탈선을 바로잡는 것 만이 국회를 다시 원상회복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은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이날 오후 부산역 앞에서 촛불시위를 겸한 대규모 장외집회를 예정대로 열기로 했다.


박 대표 등 당 지도부는 사학 및 학부모단체를 포함해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부산집회에서 사학법 전면무효와 함께 한나라당의 무효투쟁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호소할 예정이다.

한나라당은 부산집회에 이어 22일 수원에서 장외집회를 개최키로 했다. 또 이후 인천(23일)과 대구.경북(27일), 대전(28일), 서울(29일)에서 릴레이 장외집회를 여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한나라당은 이날 김원기 국회의장실 점거농성을 8일째 이어갔다.

심인성 조재영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