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22 13:42 수정 : 2005.12.22 13:42

청와대가 22일 국회 정상화를 위한 열린우리당의 대야 압박에 가세하고 나섰다.

한나라당이 지난 9일 여당의 사학법 개정안 강행처리에 반발해 국회를 박차고 나가 장외투쟁에 돌입한 지 13일 만에 장외투쟁을 강도높게 비판하는 동시에 조속한 등원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청와대가 오랜 침묵을 깨고 여당과 대야 공조에 나선 것은 일단 새해 예산안 통과와 이라크파병연장 동의안 처리 등 원활한 국정운영을 바라는 절박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예산안 등 민생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도 국회가 정상화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하루라도 빨리 국회에 등원해 현안 처리와 함께 국정운영에 협조해달라는 뜻을 전한 것이라는 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하지만 국정파트너인 제1 야당에 대한 당부 메시지 치고는 전반적인 목소리의 톤이 이례적으로 높다는 점에서 오히려 각을 세우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특히 사학법 개정안에 대한 한나라당의 반대주장을 `고질적 색깔론'으로, 장외투쟁을 `당리당략적 정치파업'이라고 일축한 것에서 국회 장기공전 사태에 대한 청와대의 `해법'을 읽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청와대는 나아가 한나라당이 폭설 피해 대책으로 내놓은 금강산관광 지원예산의 피해복구비 전용주장에 대해 "기가 막힌다"고 일갈했다.


이런 강공 배경에는 무엇보다 사학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와 종교계 내부 기류가 한나라당에 유리하지만은 않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핵심관계자는 대여 강경투쟁을 주도하고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를 겨냥, "대연정 거부로 재미를 보더니 이번에도 우기면 되는 줄 알고 있다"며 "하지만 사학법에 대한 지지율이 낮아서 뜻대로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때마침 지역경제가 마비될 정도로 호남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려 민심이 뒤숭숭한 것도 호남 껴안기에 온갖 정성을 기울여온 한나라당에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점에서 청와대의 이번 대응은 한나라당의 등원을 다각도로 압박하는 동시에 쟁점 현안인 사학법 개정문제에 대한 각을 뚜렷하게 세움으로써 신년 정국을 앞두고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한나라당이 등원을 계속 거부하면 여론을 발판으로 `단독 국회' 가동도 불사하겠다는 뜻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사학법 개정안에 대한 한나라당의 재의요구에 거부의사를 밝힐 것으로 보이는 23일 종교계 지도자들과의 간담회가 국회 가동 여부를 가릴 교착 정국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