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28 11:23 수정 : 2005.12.28 11:23

열린우리당 내에서 허준영 경찰청장의 사퇴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시위농민 사망사건에 대해 직접 대국민사과를 했다면, 경찰청장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우리당이 28일 국회에서 연 의원총회에서는 허 청장에 대한 사퇴 목소리가 대세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오영식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의총 브리핑에서 "경찰청장이 보인 태도에 대해 적절치 않다는 의견이 제시됐다"며 "경찰청장이 임기제이기 때문에 물러날 수 없다는 것은 농민 2명이 사망한 데 대한 책임있는 자세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노 대통령이 대국민사과 자리에서 경찰청장을 경질하지 않은 이유가 경찰청장을 신임하기 때문이 아니라 `경찰청장에게 2년간 임기를 보장하는 제도' 때문이라고 언급한 것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 부대표는 이어 "이번 사망사건에 대해 정부측에서 책임있는 자세를 보일 수 있도록 우리당이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고 소개했다.

지도부도 허 청장의 사퇴론에 공감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정세균 의장 겸 원내대표는 의총 모두 발언에서 "우리당은 공권력이 완벽한 통제 속에서 신중하게 집행돼야 한다고 공감한다"며 "이런 원칙이 지켜지지 못하면 책임 또한 중하게 다뤄질 수밖에 없는게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이어 "참여정부가 역대 어느 정부보다 인권을 소중한 가치로 취급했는데 안타깝고 죄송스런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모든 문제가 신속하게 마무리됐으면 좋겠고 유가족에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의총에 앞서 티타임을 갖고 허 청장의 처신이 부적절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고위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법에 따라 탄핵소추라도 해야 물러날 거냐"며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우리당이 이처럼 허 청장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게 된 것은 청와대의 기류를 감안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대통령에게 정치적인 부담을 주고 있는 허 청장에게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할 경우 청와대와 경찰청간의 갈등으로 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이 총대를 매고 공격에 나섰다는 것이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