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1.21 18:32
수정 : 2019.11.22 02:44
|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 윤호중 단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총선기획단 전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
당원, 일반국민 모집 온라인 투표
200~300명 숙의심사단 합숙평가 합산
|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 윤호중 단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총선기획단 전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21대 총선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확정하는 심사단에 당원과 일반 국민을 모두 참여시키기로 했다. 이들의 온라인 투표와 200~300명 규모의 숙의심사단의 합숙평가 결과를 합산해 최종 명단을 결정하기로 했다. 비례대표 선발에도 일종의 국민경선 방식을 도입하는 셈이다.
민주당 총선기획단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3차 전체회의에서 이렇게 결정했다고 강훈식 기획단 대변인이 밝혔다. 강 대변인은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공천심사단으로 신청할 수 있다”며 “심사단 규모가 100만명까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숙의심사단은 국민공천심사단 중에서 200~300명을 선발한다. 선발 방식은 추후 구성되는 비례대표공천관리위원회가 결정하기로 했다. 선발된 숙의심사단은 향후 1박2일간 합숙을 하며 비례대표 후보자들의 정견 발표를 듣고 질의응답을 한 뒤 후보자를 평가한다.
일반심사단은 온라인으로 생중계되는 정견 발표 등을 시청한 뒤 온라인으로 평가 투표에 참여한다. 민주당은 일반심사단과 숙의심사단 투표 결과를 합산해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확정하게 된다. 다만 각 투표 반영 비중은 당장 결정하지 않고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 비례대표 후보의 최종 순위는 중앙위원회 투표로 결정된다.
이와 별도로 민주당은 경제, 외교·안보 등 각 분야 전문가 등 당의 전략적 고려가 필요한 비례대표 후보자의 경우 별도 추천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강 대변인은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국민 눈높이에 맞는 비례대표 후보를 선발하겠다”고 밝혔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