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05 11:12 수정 : 2006.01.05 11:12

유시민 의원의 복지장관 내정 발표에 따라 여권 내부가 심각한 내홍에 휩싸인 가운데 5일 아침 긴급 소집된 열린우리당 지도부 회의에서는 참석자들간에 갑론을박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 초청 만찬을 앞두고 갑자기 복지장관 내정 발표를 한데 대한 적절성 논란과 이날 저녁으로 예정된 청와대 만찬 참석 여부 등을 두고 뜨거운 논쟁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이 철저하게 무력화되지 않았느냐", "당과 협의하겠다 해놓고 발표한 것은 어떤 경우냐" 등 지도부 내의 불만도 가감없이 터져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여당 내에서조차 심한 반발을 사고 있는 노 대통령의 이번 복지장관 내정을 받아들일 것이냐에 대한 논란도 벌어졌고, 유시민 의원 복지장관 내정 자체에 대해 "문제가 많다", "뭐가 문제냐"는 등 공방도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유시민 의원에 대한 평가는 다 달랐다"면서 "문제가 있다는 주장과 무엇이 문제냐는 상반된 주장이 나왔다"고 전했다.

대통령의 인사권 수용 여부에 대해서는 정세균 의장이 회의 초반에 "인사권을 수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했고, 논란 끝에 "전면 수용하자"고 의견이 모아졌다고 다른 참석자가 전했다.

이 과정에서 조배숙 의원 등은 "당의 의견을 듣기로 했는데 발표를 해버렸다"면서 "당이 철저하게 무력화돼 있지 않았느냐"는 등의 청와대를 향한 강한 성토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서 "인사권자의 권한인데 어떻게 하겠느냐", "이미 결정된 일인데 다른 방법이 있느냐"는 현실론도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논란은 저녁으로 예정된 청와대 만찬 참석여부로 이어졌고, "개각 발표가 완료된 마당에 갈 필요가 있느냐. 가지 말자", "예정대로 가자"는 의견이 맞섰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또 "상임고문들이 가서 대통령에게 당의 뜻을 전달하자"는 등 여러 대안도 제시됐다.

장시간 논란 끝에 "결국 대통령의 의견을 존중할 수밖에 없는 입장에서 만찬일정을 강행할 경우 불필요한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는 데 대체적 인식이 모아지면서 새 지도부 선출후 갖자는 절충안으로 결론이 났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곧 내각으로 들어갈 정 의장보다 후임 의장이 만찬에 가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제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세균 의장은 회의 뒤 기자들의 질문에 "위기가 있으면 당이 단결하고 수습하는 지혜가 있으니까 국민의 걱정을 안 끼치며 전당대회와 지방선거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황재훈 류지복 기자 j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