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1.13 20:07
수정 : 2006.01.13 20:10
이재오 원내대표 ‘사학법’ 대응은
‘비주류 강경파’의 대표로 꼽히는 이재오 원내대표 체제가 들어서면서, 한나라당의 사립학교법 무효화 원외투쟁 방식이 변화할 조짐이다. 그 방향은 ‘전선은 넓히되, 협상도 함께’라는 말로 압축할 수 있다.
이 원내대표는 13일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주재한 첫 회의에서 사학법 투쟁과 관련해, “노무현 정부의 실정을 총체적으로 규탄하는 수위로 상향조정할 것”이라고 대여 압박 방침을 밝혔다. 그는 △황우석 파동에서의 정부 책임 △‘법조브로커’ 윤상림과 여권의 관계 △정보기관 ‘엑스파일’ 사건 등에 대한 국정조사까지 거론하면서 정부·여당을 압박했다.
그러면서도 이 원내대표는 ‘협상’을 강조했다. 그는 “사학법 무효화 원외투쟁본부 안의 교육권 수호 분과위원회에서 각계 의견을 담아 여당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재개정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오는 24일) 열린우리당의 원내대표가 선출되는대로 협상을 시도하겠다”고 말했다. 국어교사 출신으로 15·16대 국회에서 6년 동안 교육위원을 지낸 그는, 전날에도 “초·중·고교와 대학은 각각 달리 적용해야 한다”고 사학법 재개정안에 대한 대강의 구상을 밝히며, 여야 협상의 여지를 열어놓았다. 이는 그동안의 원외투쟁 외길 노선에 ‘대안 마련 및 협상 개시’를 추가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원내대표는 <에스비에스>(SBS) 라디오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여당이 사학법 재개정 협상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2월 임시국회는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직을 맡은 한 의원은 “한쪽에서는 대여 압박을 강화하면서 한쪽에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여당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도록 하는 ‘양동작전’”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또 <시비에스>(CBS)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와, 박 대표가 사학법 투쟁을 국가정체성 문제로 규정한 것에 대해 “개인의 감정이나 이념을 전면에 내세워서 당의 갈등의 한 축을 이룬다거나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에둘러 비판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