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몫의 지도부 자리를 노리는 조배숙 의원을 제외하더라도, 재선그룹 4명이 지도부 1석을 놓고 다투는 형국이다. 이 때문에 이번 전대에서 재선그룹 내 경쟁은 정동영, 김근태 상임고문의 `빅 매치'에 버금갈 정도로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재선의원들이 지도부 진출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쟁쟁한 당내 당권주자들과의 경쟁에 앞서 먼저 내부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한 듯 재선의원들도 각자의 장점과 비교우위를 극대화시키는 전대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시민 의원 입각에 반대한 초.재선 `서명파' 모임을 주도했던 김영춘 의원은 이번 전대 경선에서 당.청 관계 재정립을 의제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출마선언문에서도 "당의 확고한 자주성이 강조돼야 하고 당이 정치의 중심에 서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 광진갑이 지역구인 김 의원은 부산 출신으로, 김혁규 의원, 김두관 특보와 함께 PK(부산.경남)지역에서 상당한 득표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상대적으로 정동영 고문과 가까운 관계이지만, 중도파 의원들 사이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재선그룹 가운데 대중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임종석 의원은 중도개혁세력 대통합과,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과의 선거연합을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다. 이 때문에 민주당과의 통합론이 지론인 염동연 의원도 "임 의원과 함께 영혼을 불사르겠다"며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는 후문이다. 전대협 의장 출신인 임 의원은 김근태 의원측과 가깝지만, 당내 중도파를 비롯해 정동영 고문과도 원만한 관계라는 점이 장점으로 분석된다. 서울 성동을이 지역구이지만, 전남 장흥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호남 지역에서 상당한 지지를 얻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재선그룹 가운데 가장 먼저 전대준비에 착수한 김부겸 의원은 전대에서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를 통한 지방선거 승리 방안과 당.청관계 개선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당내 중진그룹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탁월한 친화력을 바탕으로 당내 제계파와 원만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또한 김 의원은 전대 출마 예상자 가운데 유일한 TK(대구.경북)지역 출신으로서, 당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의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걸 의원은 지방선거에서 `반 한나라당 전선'을 의미하는 평화개혁세력의 대동단결을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울 계획이다. 이 의원은 또 당의 자주성 확립도 강조하면서 당.청관계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일 방침이다. 이 의원은 김영춘 의원과 함께 초.재선 `서명파' 모임에도 적극 참여했었다. 바른정치모임 소속인 이 의원은 정동영 고문과 가까운 관계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