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15 17:17 수정 : 2006.01.15 17:17

‘당권파 책임론’ 정면 제기
“책임전가 행위에 경고”

열린우리당 `2.18 전대회'에 출사표를 던진 정동영, 김근태 두 상임고문이 초장부터 그야말로 불꽃을 튀는 정면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근태 고문이 정동영 고문계를 이른바 `당권파'로 지목해 당의 지지율 하락 등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서자 그간 선공을 자제한 채 `카운터펀치'를 날리는데 주력해 정 고문 진영에서도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전운'이 감돌고 있는 것.

특히 김 고문 진영은 `당권파 때리기'를 단순히 전대전략 차원에서 바라보는 게 아니라 "분명히 매듭짓고 가야 할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전대 선거기간 양 진영간 피할 수 없는 한판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김 고문은 15일 국회에서 전대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간판도, 노선도, 샌도 다 바꿔야 한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더 이상 당권파에게 당을 맡길 수 없다"며 정 고문 진영을 직격했다.

그는 "상대 후보를 비난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비난이 아니고 인신공격을 한 적도 없다"며 "그러나 알만한 샌은 다 안다. (당권파가) 주요 당직을 돌아가면서 맡았고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특히 김 고문의 이 같은 강경한 입장은 당 복귀 이후 26개 지방 시.도를 돌며 당원들을 만나는 과정에서 확고히 다듬어진 것이라고 김 고문측은 설명한다. 기선제압을 위한 일회성 전략이 아니라 신념에 기초한 `구당 선언'이라는 주장이다.

한 측근은 "당권파에게 지지율 하락,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이 있는 만큼 유야무야 덮고 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김 고문의 뜻이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김 고문계의 `백병전' 불사방침에 대해 정동영 고문계는 "전대회를 국민과 당원에게 노선투쟁처럼 비치게 할 우려가 있다"며 "현명하지 못한 행동"이라고 지적하고 나섰다.


정 고문측은 당직 인선이 당내 여러 계파가 참여하는 형식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김 고문계의 `당권파 때리기'는 논리에도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신기남 이부영 문희상 의장 등 전직 당의장에 대한 모독인 만큼 분열주의적 행동은 삼가라는 경고인 셈이다.

정 고문은 이날 오전 충남도당 사무실에서 가진 당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마이너스 전대회로는 우리당 지지율 1등은 불가하다"며 김 고문측의 `네거티브 전략'에 경계심을 보였다.

정 고문은 "어떤 집이든 싸움이 자주 일어나는 집안은 흥하기가 어렵다"고 강조한 뒤 "노선투쟁하고 상대방을 비난하고 책임을 전가하는 행위에 대해서 경고장을 보내야 한다"고 김 고문측을 겨냥했다.

정 고문은 지난 13일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서는 "남의 탓을 하는 집안보다 자기 탓하는 집안이 잘된다"며 "다른 비난과 비판을 감수하겠지만 당권파라고 말하는 것은 데마고그, 즉 정치선동"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