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우식 부총리 내정자 “부동산 투기의혹 이슈로”
정세균 산자 내정자 “재산 편법증여 의혹 공방”
이상수 노동 내정자 “보은 인사” “전문성” 충돌
이택순 경찰청장 내정자 검·경 수사권 조정 초점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내정자와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 내정자의 경우, 정책보다 개인적 문제가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 부총리 내정자는 부동산 투기 의혹이 쟁점이다. 한나라당은 “김 내정자가 지난 1974년부터 경기 의정부·용인·파주, 강원 동해 등지에서 땅을 사들였고 이 땅의 시가가 현재 몇십억원대에 이르고 있다”며 부동산 투기를 의심하고 있다. 땅이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은퇴 뒤를 대비해 지인들과 공동지분으로 샀다”는 김 내정자의 해명은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야당은 또 청와대 비서실장 출신으로 황우석 교수 파문의 주무부처를 맡게 된 김 내정자를 향해 “청와대와 정부가 황 교수 사태에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다”고 추궁할 태세다.
이에 대해 김 내정자 쪽은 “본인이 직접 답변을 준비하고 있으며, 청문회 때 입장을 내놓을 것”이라고만 밝혔다.
정 내정자는 자녀의 재산이 문제다. 한나라당은 “각각 1979년과 1981년생인 정 내정자의 큰딸과 아들이 각각 6900만원과 1억4천만원의 예금을 가지고 있다”며, 편법증여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내정자 쪽은 “90년대에 외할머니가 각각 2500만원씩 증여했고, 부모가 조금씩 준 돈과 아르바이트 수입, 장학금, 산업체 병역특례 근무 수입 등을 모아둔 것”이라며 “사회통념상 액수가 많을 수는 있으나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다.
이상수 노동부 장관 내정자에게는 노무현 대통령의 ‘보은 인사’ 공격이 가해질 전망이다. 이 내정자는 이에 대해 “솔직히 그런(보은 인사) 측면도 있다고 인정하지만, 6년 동안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등 전문성과 경륜을 갖추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 내정자는 해를 넘긴 비정규직 관련 법안에 대해 “2월에는 반드시 통과시키도록 하겠다”며 “정부안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국회에서 타협하는 결과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택순 경찰청장 내정자는 불법 폭력시위 대처 방안과 검·경 수사권 조정 등에 대한 견해가 주요 쟁점이다.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에 대해선 경찰의 수사권을 대폭 인정한 열린우리당안의 관철을 위해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내정자 쪽은 본인과 부인, 두 딸의 두 차례에 걸친 주민등록 위장전입 문제가 청문회에서 불거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황준범 이본영 기자 jayb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