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20 17:51 수정 : 2006.03.20 17:51

한명숙, 문희상 부상..김병준 병렬 검토

노무현 대통령은 정치권 출신 인사의 발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새 총리 후보군을 폭넓게 검토한 뒤 빠르면 금주중 총리 내정자를 지명할 방침인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총리 인선 방향과 관련, "정치권, 비정치권이든 남자, 여자이든 인선 기준으로 정한 몇 가지 방향에 부합한 분을 4∼5배수 후보로 놓고 백지상태에서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5.31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을 감안, 정파성이 강하지 않고 국회 인준 청문회 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치적 중립형 인사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실장은 "정치권에서도 두드러진 정치색이 없는 분이 있을 수 있고, 비정치권에서도 정치색을 강조해서 볼 분이 있을 수 있다"며 "대통령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지 정치권, 비정치권을 갈라서 말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총리 백지상태 검토'와 관련, "새 총리 인선을 위한 여러 기준에 부합하는 분을 찾다보니 인재 풀이 협소해진 면이 있기 때문에 보다 폭넓은 후보군을 갖고 고심하겠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렇다고 정치권에서 꼭 총리감을 찾겠다는 것으로 단정해선 안되며 대통령 국정철학과 정책에 정통한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도 여전히 유효한 카드"라며 "다른 후보들과 병렬상태에서 계속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총리 후보군에는 김병준 실장을 비롯해 정치권 인사로는 문희상 전 열린우리당 의장, 한명숙전 환경부장관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관료 출신으로 전윤철 감사원장과 박봉흠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한명숙 의원은 여성, 환경 장관을 역임하며 국정경험이 있고 비교적 야당과 대립한 적이 없고, 문희상 전 의장은 대야관계도 원만하고 대통령 철학에 정통하다는 점에서 검토될 수 있는 후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국정의 안정적 운영 ▲정치적 중립성 ▲참여정부 정책 이해도 ▲국회와의 의사소통 ▲행정능력 ▲대국민 정서적 안정감 등을 총리 인선기준으로 설정하고 후보군들을 검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