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4.13 16:57 수정 : 2006.04.13 16:57

"공적영역 국정업무, 사적영역 댓글로 폄하말라"

청와대가 13일 `대통령 댓글' 논란에 대해 정리된 입장을 내놨다.

요약하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댓글은 일반 네티즌의 댓글과는 구별되는 국가원수로서의 공적 행위이며, 따라서 대통령 댓글에 대한 시비 걸기는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비이성적 공세라는 것이다.

양정철(楊正哲) 홍보기획비서관은 이날 청와대브리핑에 올린 `디지털시대의 아날로그 논쟁'이란 제목의 글에서 "대통령이 현재 국정브리핑 정책기사에 대해 언급하는 내용은 행정부 수반의 의견이지 댓글이 아니다"며 "국가원수가 행정부처 업무를 통할하면서 여러 정책 현안에 대해 지시나 의견 표명, 코멘트, 업무 독려 차원에서 보내는 메일"이라고 말했다.

이런 전제에서 양 비서관은 "대통령이 공적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정운영 업무를 사적 영역에서 댓글 수준으로 낮추는 데에는 음험한 저의가 있어 보인다"며 " 인터넷 공간에서 이뤄지는 의견표명을 모두 댓글이라고 착각해서 그랬다면 대통령을 네티즌 가운데 한 사람으로 밖에 안 본다는 반증이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댓글에 대한 일부 언론의 비판 배경에 노 대통령을 무시하거나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얘기다.

그는 "행정부 수반과 일선 공직자가 여러 국정 현안에 대해 소통하는 것은 권장할 일이지 삐딱한 시각으로 볼 일이 아니다"며 "국가정상이 인터넷망을 통해 여러직위의 공직자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양 비서관은 "이를 두고 한가한 댓글 놀음 운운하는 것은 낡은 사고방식과 정부에 대한 맹목적 공격의도가 아니고는 생각해낼 수 없는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그는 끝으로 "대통령은 바쁜 시간을 쪼개 일선 공무원들이 일하는 모습을 챙기고 있다. 격려메일, 의견메일, 지시메일을 보내고 있다"며 "한가하게 댓글이나 다는 대통령쯤으로 공직사회의 소통을 보는 시각은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는 한가한 아날로그 논쟁"이라고 비판했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