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15 16:01 수정 : 2006.05.15 16:01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지난해 10월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김종빈 검찰총장에 대한 사표수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문재인 전 민정수석, 부산서 기자회견


문재인(文在寅)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15일 "대통령도 부산출인인데 부산시민들이 왜 부산정권으로 안받아들이는지 이해가 안된다"며 참여정부에 대한 부산지역의 지지율 정체현상을 답답해 했다.

청와대내 위상 때문에 '왕수석'으로 불리던 문 전 수석은 이날 오후 부산지역 기자들과 만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와 신항 및 북항재개발, 인사 등 정부로서는 거의 할 수 있는 만큼 부산에 신경을 쓰고 지원을 했는데 시민들의 귀속감이 전혀 없다, 엄청 짝사랑하는 것 아니냐"면서 이 같은 심정을 토로했다.

문 전 수석은 또 5.31 지방선거와 관련, "대통령은 부산에서도 지역주의가 허물어지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면서도 "이번 선거가 참여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라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선거결과가 좋으면 남은 기간에 참여정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분명 도움은 되겠지만 여당이 실패하면 더 겸손해지는 등 선거결과를 교훈삼아 극복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방선거 이후 정치전망에 대해 문 전 수석은 "개헌정국으로 갈 수 있겠고, 좀더 지나면 대선정국으로 가겠지만 워낙 변화무쌍해 점치긴 힘들다"면서도 "정국 주도권은 정당들이 가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부산시장 선거에 역할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당 오거돈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지만 선거에 결합해 지원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 조심스럽고, 지금의 대통령 이외에 다른 후보를 위해 역할을 한다는 생각도 안해봤다"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문 전 수석은 마지막으로 "대통령 임기중에는 인기가 오르내리겠지만 5년이라는 긴 호흡으로 원칙을 지켜온 것이 임기가 마무리되는 시점에는 평가받을 것"이라며 "대선에서는 우리가 지향하는 역사적 흐름에 맞느냐 하는 것이 절대적인 판단기준이 된다"고 역설했다.


민영규 기자 youngkyu@yna.co.kr (부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