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해 10월26일 청와대에서 국정과제회의를 열기 위해 윤성식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오른쪽)과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 “부처 비협조로 겉돌아”
노대통령 면담서 지적…김병준 전 실장과 갈등
정부혁신을 주도해온 윤성식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이 혁신업무 추진과정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사표를 낸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특히 윤 위원장의 사표 제출에는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의 갈등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한 핵심 관계자는 이날 “윤 위원장이 5월 중순께 청와대에 사의를 표명한 뒤, 지난 1일 노무현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각종 혁신업무 추진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으로 안다”며 “노 대통령은 윤 위원장의 사표를 수리하기로 결정하고 후임자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혁신 업무는 노 대통령이 “참여정부가 가장 내세울 만한 일”이라고 자긍심을 보여오던 분야여서, 윤 위원장의 사퇴로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윤 위원장이 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는 애초 권오규 정책실장이 배석할 예정이었으나, 윤 위원장이 “김 전 실장이 얘기를 같이 들어야 한다”고 주장해 김 전 실장이 배석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김 전 정책실장은 면담이 이뤄지기 사흘 전인 5월29일 정책실장에서 물러났다. 윤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가 대통령에게 보고할 기회를 차단당하고 있으며, 정부혁신 관련 부처 사이 협조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혁신업무가 공전되고 있다는 등의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의 혁신업무는 위원회 외에도 청와대 정책실과 혁신관리수석, 행정자치부의 혁신본부 등이 나눠 맡고 있다. 이에 노 대통령은 지난 8일 이 위원회의 민간위원 10여명과 함께 점심을 들며, 정부 혁신업무 추진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토론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노 대통령은 이 토론회에서 특별한 결론을 내리지는 않았다. 이 토론회가 끝난 직후 권오규 정책실장은 윤 위원장에게 “중앙인사위원회를 통해 사퇴 절차를 밟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윤 위원장은 5월 중순 주변 사람들에게 혁신업무 추진과정에서 맞닥뜨린 각종 어려움을 호소하고 “이럴 바에는 내가 사표를 내는 게 낫겠다”며 대통령에게 사표를 제출했다고 위원회 관계자들이 밝혔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