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30 18:42 수정 : 2006.06.30 18:42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다음주 초 개각을 통해 교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30일 오후 경기도 과천 재경부 청사를 직원들이 드나들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다음주 개각 어떻게 될까
권오규·김병준씨 정책통으로 호흡 맞춰와
친정체제 강화·‘돌려쓰기 인사’ 논란일듯

노무현 대통령의 사실상 ‘마지막 개각’이라고 할 수 있는 개각의 인선 윤곽이 30일 드러났다.

청와대는 해마다 두 차례 장관에 대한 업무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를 1, 7월 인사에 반영한다는 원칙을 세워놓고 있다. 따라서 내년에도 개각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통령 임기를 고려하면, 일에 대한 의욕이 반영된 개각은 이번이 끝으로 보인다.

바뀌는 장관급은 네 자리지만, 핵심은 두 자리다. 경제부총리에 기용될 가능성이 높은 권오규 청와대 정책실장과 교육부총리 기용이 유력한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다. 서로 정책실장을 주고받은 사이다.

외환은행 수사도 쇄신에 영향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런 인선 구도에 대해 “노 대통령이 남은 임기 동안 전력을 다해 해결하려는 과제가 양극화 해소와 교육 문제”라며 “이를 위해 오랫동안 호흡을 맞춰온 두 사람을 전진배치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두 사람의 면면을 보면 노 대통령의 의지가 묻어난다. 권 실장에 대해 청와대 한 고위 관계자는 “참여정부 출범 초 청와대 정책수석을 지내는 등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아는 정책통”이라며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로 있으면서 양극화 해소 문제, 저출산·고령화사회 대책 등에 대해 밀도 있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노 대통령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과제에 정통하다”고 말했다.

외환은행 헐값 매각과 현대자동차 부채 탕감 문제 등으로 전·현직 재경부 관료들이 줄줄이 감사원 감사나 검찰 수사를 받는 상황도 부처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부총리 교체의 한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김병준 전 실장은 한달 전인 5월 말 물러날 때부터 이미 교육부총리에 예약된 상태였다. 한때 이해찬 총리 후임으로 한명숙 총리보다 더 가까이 간 적도 있을 만큼 노 대통령의 절대적 신임을 받는 사람이다.

노 대통령이 친정체제를 강화하면서 이 두 영역에서 마지막 혼신의 힘을 쏟아붓겠다는 의지가 실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노 대통령이 5·31 지방선거가 최악의 참패로 결론난 직후 “선거 결과는 민심의 흐름으로 받아들인다”면서도 “정부는 그동안 추진해온 정책과제들을 충실히 최선을 다해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할 때부터 예정된 인선흐름으로도 이해된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이런 인선은 자기 사람만을 돌려쓰는 편협한 인사라는 평가를 피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제수장에 오른 권 실장의 경우, 4월 중순 경제수석(차관급), 5월 말 정책실장(장관급)에 이어 다시 한 달 만에 부총리급으로 오르는 초고속 승진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쪽에서는 “권 실장이 경제부총리를 노리고 노무현 대통령 코드 맞추기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좋지 않은 평가도 나오고 있다.

법무장관은 유임 가능성

법무부 장관의 경우, 지방선거 이전까지만 해도 천정배 장관이 7월을 전후해 열린우리당으로 복귀하고 후임에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기용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돌았으나, 최근 천 장관의 유임 쪽으로 결론이 났다. 열린우리당에서 김근태 의장 체제가 가동된 만큼 당에서의 활동 영역이 그리 넓지 않다는 점이 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