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04 11:07 수정 : 2006.07.04 11:07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6월7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민경제자문회의를 주재하며 메모를 하고있다. /박창기/정치/ 2006.6.7 (서울=연합뉴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4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최근 개각 등과 관련한 언론보도 경향에 대해 '속앓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개의와 함께 대뜸 기획예산처 장관 내정자인 장병완(張秉浣) 차관에게 "기획예산처는 차관이 (장관) 대행으로 참석하신 겁니까"라고 물었다.

장 차관이 "그렇다"고 하자 노 대통령은 좌중을 둘러본 뒤 "오늘은 장관님들이 다 나오신 것 같네요"라며 "나는 대통령이 지난번 국무회의 주재할 때 차관님들이 많이 나와서 '대통령이 힘이 빠져서 차관들이 나온것'이라고 신문들이 쓸까봐 걱정했어요"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총리 주재하는 국무회의에 차관 대참이 많았다는 그런 말이 있어서 지난번에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하면서 헤아려봤다"고 밝힌 뒤 "오늘은 대통령이 나오니까 장관들이 다 나왔군요"라고 말을 이었다.

대통령이 주재하건 총리가 주재하건 사정에 따라 국무회의에는 장관을 대신해 차관이 참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차관들이 많이 나올 경우 '대통령 힘 빠졌다'는 식으로 "신문이 쓸까 봐" 우려했다는 취지의 뼈가 담긴 조크성 발언이었다.

이에 한 총리는 이전 국무회의에 차관들이 많이 참석했고, 이날 국무회의에 장관들이 대부분 참석한 것에 대해 "국회가 끝나서 그렇습니다"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한 총리의 답변에 "그렇습니까"라고 고개를 끄덕인 뒤 한숨을 내쉬면서 심각한 표정으로 "어떻든 속이 아프니까 하는 얘기"라면서 "이 정부가 끝날 때까지 이런 유형의 속앓이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취재기자들에게 공개된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이같은 언급을 한 것은 청와대 전,현 정책실장을 경제,교육부총리에 내정한 이번 개각에 대한 언론의 비판적 보도형태에 대해 유감을 표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정기조의 일관성 유지라는 정책적 측면은 배제한 채 '친정체제' 강화 또는 '레임덕 차단' 등 과도하게 정치적 성격을 부각시켜 개각의 의미를 퇴색시켰다는 소회를 "속이 아프다", "속앓이 계속될 것"라는 표현으로 반응했다는 것.

하지만 노 대통령은 "그래도 좋은 일도 많이 있을 것"이라며 "오늘 27회 국무회의를 다시 희망을 갖고 해보자"는 새로운 다짐으로 회의를 시작했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