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28 10:45 수정 : 2006.07.28 10:45

“관행 넘어선 문제인지?...사실관계 파악우선”

청와대는 28일 김병준(金秉準) 교육부총리의 논문 '표절 논란'이 이어지자 "본인이 해명하지 않겠느냐"면서도 짐짓 무신경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역력하다.

김 부총리가 전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논문의 중복 보고 사실에 대해 사과를 했지만 비판 여론이 수그러들지 않는데다, 자신의 논문 제목을 바꿔 다른 논문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자기 표절' 시비까지 새롭게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병완(李炳浣) 비서실잘 주재로 이날 아침 열린 일일상황점검회의에서도 김 부총리의 '표절 논란'에 대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일일상황점검회의는 주로 언론보도내용을 점검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김 부총리 관련 사안도 그 차원에서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일단 언론이 제기하는 의혹에 대해 "사실 관계에 대한 파악이 우선돼야 하지 않느냐"며 김 부총리를 감싸려는 분위기가 강하다.

정태호(鄭泰浩)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부총리 문제에 대한 청와대 입장을 묻는 질문에 "청와대에서 특별히 할 말은 없다"는 전날 논평을 되풀이했다. '아직 상황이나 입장 변화는 없다'는 분위기이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김 부총리의 해명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부연했다.

청와대는 공개적인 입장 표명을 밝히기는 꺼리지만 "김 부총리 논문 문제는 당시 대학 교수들 사이의 관행이고 있을 수 있는 일 아닌가"라는 인식이 없지 않다.


한 관계자는 "언론이 너무 샅샅이 뒤지는 것 같다"며 "그런 식이라면 교수 출신중에서 교육부 장관 할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 김 부총리에만 해당하는 것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교육부총리 인선 검증 과정에서도 이 같은 문제는 '결격 사유'로 점검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현 시점에서는 사안 자체가 김 부총리의 사퇴나 경질로까지 논의가 진전될 사항으로 보고 있지 않는 가운데 일단 김 부총리의 해명과 사실 관계 규명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교육부총리로서 보다 엄격한 도덕성을 주문하는 '현재의 여론'이 '과거의 관행'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동향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이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