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03 18:17 수정 : 2006.08.03 18:17

여 공식반응 자제속 "신중치 못하다"
야 "민심 모르는 소리"

여야는 3일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비서실장이 김병준(金秉準) 교육부총리 거취파문과 관련한 정치권의 대응방식을 두고 "구태 정치문화의 폐습"이라고 비판하고 `대통령의 인사권 존중'을 강조한데 대해 "신중치 못하다", "민심을 모르는 소리"라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김 부총리의 사퇴 불가피론을 주도해온 열린우리당은 일단 공식 반응은 자제했다.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당 차원에서 언급하지 않는게 좋겠다"고 말했다.

민병두 홍보기획위원장은 "이 실장 입장에서는 할 수 있는 말이고, 대개 일리가 있는 말"이라며 "청와대와 당 양쪽 모두 이런 얘기들은 언론에 대놓고 할게 아니라 차분히 감정을 가라앉힌 뒤에 비공개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비대위원은 "비서실장이 공개적으로 당의 의견을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고, 충청권의 한 초선의원은 "운동권 몇명이 청와대에 앉아서 소수의 인재풀로 수석과 장관을 시키는데 대해 국민들의 혐오감이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실장이 문재인(文在寅)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기용과 관련한 당의 부정적 의견을 공개적으로 반박한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며 당황스럽다는 반응들이 나왔다.

우리당의 한 핵심당직자는 "인사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고 하지만 개인회사나 주식회사의 대표도 요즘에는 함부로 인사를 못한다"고 지적하고 문 전수석의 기용문제에 대해서는 "능력과 인품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정서에 맞는 인사가 가장 중요하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청와대 비서실장이 당의장의 발언에 대해 반격하는 형식으로 받아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신중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을 비롯한 야4당은 "`여론재판'이라는 주장은 민심을 모르고 하는 얘기"라며 이 실장의 발언을 반박했다.

한나라당 김형오(金炯旿) 원내대표는 "이렇게 민심을 모르고 국민의 뜻을 모르니 이해가 안 되고 답답하다"면서 "이런 식으로 하면 이제는 대화가 안 통하는 정도가 아니고 구제불능으로 가는게 아닌가 해서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황우여(黃祐呂) 사무총장은 "김 부총리가 인정한 의혹만으로도 교육부 장관에게 요구되는 도덕성과 자질에 부합하지 않는데 여론재판이라니 말도 안된다"며 청와대의 시각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나경원(羅卿瑗) 대변인도 "인사권이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것은 맞지만, 대통령은 그 인사권을 마음대로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뜻을 존중해서 해야 한다"며 "대통령이 사과해야 할 문제를 갖고 여론재판이라고 매도하며 반성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참여정부에는 기대할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

민주당 이상열(李相烈) 대변인은 "국민의 대다수 의사가 잘못됐다고 접근하는 시각 자체가 구태정치이고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청와대는 민심의 흐름에 귀기울이지 않고 배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박용진(朴用鎭) 대변인은 김 부총리 사퇴 파문에 대해서는 "국민의 높아진 도덕적 기준, 공직자 윤리 기준을 청와대가 못 받아들이겠다고 한다면 청와대에 문제가 있다"면서도 `문재인 논란'과 관련해서는 "문재인 카드에 대한 반대를 이해할 수 없다는 청와대 입장은 이해가 간다"며 두 사안을 분리, 대응했다.

국민중심당 이규진(李揆振)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노 대통령은 지금까지 코드, 보은, 정실인사로 일관했다"며 "대통령의 인사권은 당연히 존중돼야 하지만, 잘못된 인사에 대해 국민과 언론이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맹찬형 이승우 김경희 기자 mangel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