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법무카드' 강행시 갈등폭발 우려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던 당.청간 `인사갈등'이 외견상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갈등의 중대 분수령으로 평가된 6일 당.청 수뇌부 오찬회동에서 양측이 한발짝씩 물러서는 선에서 일정한 타협점을 도출해낸 것이다. 이른바 `문재인 법무카드'에 반기를 들었던 당은 대통령의 인사권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자세를 고쳐잡았고, 당의 이의제기에 강한 불만을 표출했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도 인사문제에 관해 당의 의견을 경청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한걸음 더 나아가 꽉 막힌 당.청간 `소통'의 물꼬를 트는 성과물도 나왔다. 이해찬(李海瓚) 전 총리 때까지 가동돼온 `고위 당.정.청 회의'를 `모임 형태'로 다시 복원해 주요 정무.정책현안에 관한 중지를 모은다는데 여권 수뇌부가 합의했다. 이로써 노 대통령의 휴가기간 우리당 수뇌부와 대통령의 참모들이 김병준(金秉準) 교육부총리 사퇴문제와 `문재인 법무카드'를 놓고 벌였던 날선 대립이 노 대통령과의 직접대화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된 셈이다. 그러나 표면상 드러난 결론과는 달리 이번 회동은 그야말로 갈등을 덮는 수준의 `어정쩡한 봉합'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더이상의 확전은 자칫 여권 전체를 공멸의 위기로 빠뜨릴 것이란 공감대 속에서 황급히 원칙론적 합의를 도출해내는데 주력했을 뿐, 인사문제를 둘러싼 당.청간 갈등의 골은 여전히 내연하고 있다는 얘기다. 무엇보다도 이번 회동은 그 성격상 `계급장'을 뗀 격의없는 대화라기 보다는 사전조율된 결론의 범위 내에서 서로의 `다른 시각'을 뚜렷이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는 분석이다.노 대통령은 당의 이의제기를 `권력투쟁 상황'으로까지 비유하며 진한 섭섭함을 드러냈고, 이에 당 지도부는 직접적인 반박의 모양새는 피하면서도 `민심'을 따를 수 밖에 없는 입장을 적극 설명하며 고개를 숙이려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례로 노 대통령은 김병준(金秉準) 부총리 사태와 관련해 "당이 반대한 상황에서 임명했더니 문제가 터지고, 그러자 당이 고소하다는 식으로 더 흔든 것 아니냐"고 섭섭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이에 대해 김한길 원내대표는 "주요 인사에 대해 당은 의견을 전달하고 대통령은 조언을 참고해서 결정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고, 이석현(李錫玄) 의원은 "대통령이 인사를 잘못하면 당 지지도가 떨어지지 않는가. 그래서 관심갖고 당이 건의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가세했다는 것이다. 이를 놓고 현재권력(청와대)과 미래권력(당)간의 서로 다른 정치적 이해와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하는 시각도 있다. 특히 논란의 정점에 서있던 문재인(文在寅)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기용 문제에 관해 `똑 부러진'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점은 추후 당.청갈등의 회오리를 촉발할 뇌관을 남겨둔 것으로 관측된다. 노 대통령이 직접적 언급은 삼갔지만 발언의 `행간'으로 볼 때 `문재인 카드'를 밀어붙이려는 의도가 강하게 느껴졌다는게 참석자들의 전언이다. 물론 노 대통령이 당의 의견을 경청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지만 이미 문 전수석의 법무장관 기용 만큼은 당이 양보해주기를 바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비대위원은 "대통령이 문 전수석을 기용할 의지가 있는 것처럼 들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현 여권내의 기류로 볼 때 노 대통령이 문 전수석 카드를 강행할 경우 당.청관계는 걷잡을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미 당내에서는 호남.수도권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강한 반발세가 형성되고 있는 조짐이다. `회전문 인사'라는 여론도 문제이지만 전통적 지지기반인 호남표심의 이반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문 전 수석은 5.31 지방선거 직전 "현 정권은 부산정권"이라고 말했고, 이는 호남표심을 자극해 지방선거 참패의 한 요인이 됐다는게 당내의 대체적 상황인식이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