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06 17:45 수정 : 2006.08.06 17:45

`논의대상'.`멤버구성' 이견 조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6일 합의한 고위 당.정.청 모임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심각한 `소통 장애' 현상을 빚어온 여권내의 현안들이 이 통로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을지가 초점이다.

노 대통령과 우리당 지도부는 이날 오찬회동에서 당정청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한명숙(韓明淑) 총리가 포함된 고위 당정청모임을 만들어 주요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조율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국정운영 과정에서 가장 긴밀해야 할 당정청이 더이상 인사문제나 국정현안에 대해 이견을 노출하고 갈등하는 듯한 모습으로 비쳐져선 안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사실 당정청간 의사소통을 위한 고위급 인사 모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여권은 지난해 말까지 당 의장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 실장, 민정수석 등 12명의 고위인사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하면서 각종 현안에 대한 당.정.청의 입장차를 조율한 바 있다.

이 모임에는 여당내 실세인 당시 정동영(鄭東泳) 의장과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부 장관까지 가세했고, 때때로 노 대통령이 직접 주관하는 등 사실상 여권의 수뇌부 회동으로 기능했지만 지난해말 두 사람이 각각 장관직을 그만둔 이후 가동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최근 김병준(金秉準) 전 교육 부총리 거취 문제로 여권 내부의 입장 조율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한명숙(韓明淑) 총리와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비서실장,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 등 `4인 회동'이 이뤄지기도 했다.

이번 고위 당정청 모임의 참석범위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한 총리와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 강봉균(康奉均) 정책위의장,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비서실장, 변양균(卞良均) 정책실장이 필수멤버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당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금명간 한 총리와 당의장, 원내대표와 상의해서 참석범위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건은 12인회의처럼 당 출신 장관들도 참여할지 여부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

12인회의의 경우 참석자가 너무 많아 심도있는 논의가 힘들었다는 지적이 있는데다, 당내 일각에서는 당 출신 장관이 참여할 경우 유시민(柳時敏) 복지장관도 멤버에 포함된다는 사실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천정배(千正培) 전 법무, 정세균(丁世均) 산자부 장관, 문희상(文喜相) 유인태(柳寅泰) 의원 등 일부 상임고문과 당의 중진들이 참여할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

이 모임의 논의 대상과 관련해 청와대와 우리당은 공히 국정운영 전반이 대상에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인사문제가 포함될 지 여부 등 구체적 논의 대상을 놓고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내는 등 출발부터 심상치 않은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우상호 대변인은 "후임 법무장관 기용문제도 이 모임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청와대 정태호(鄭泰浩) 대변인은 "모임에서 인사문제가 거론되는지 여부를 코멘트하는 것은 이른 것 같다"면서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문재인(文在寅)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기용에 반대해온 당으로선 후임 법무장관 문제를 먼저 매듭짓겠다는 의지를 보인 반면 청와대는 이 문제를 논의대상에 포함시킬지조차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조심스런 입장을 밝힌 것이다.

따라서 문 전 수석의 기용을 둘러싼 당청간 논란이 어떻게 해소될 것인가가 향후 고위 당.정.청 모임의 순항 여부를 가늠할 첫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