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09 01:16 수정 : 2006.08.09 02:11

새 법무부 장관에 내정된 김성호 국가청렴위원회 사무처장이 8일 오후 서울 계동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준비하는 동안 걸려온 축하 전화를 받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20년전 ‘이근안 고문탄원서’ 증발싸고 “서로 오해있었다”

김성호 신임 법무장관 지명자와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의 20년 전 ‘악연’이 새삼 화제가 되고 있다.

김 의장이 1985년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사건으로 서대문구치소에 수감됐을 때, 그해 9월 고문 기술자 이근안씨에게 고문받은 사실과 자신의 항변을 담은 탄원서를 재판부에 제출하려 했지만 구치소에서 법원으로 전달되지 않고 검찰 단계에서 ‘증발’된 일이 있었다는 것이다.

김 의장의 한 측근은 8일 “법원으로 넘어갔어야 할 탄원서가 중간에 사라졌다”며 “나중에 알아보니 당시 김성호 검사가 탄원서를 법원으로 보내지 않고 그대로 깔아뭉갰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이 탄원서는 100쪽이 넘는 분량으로 이근안 경관이 어떤 수법으로 고문을 했고, 어떤 진술을 강요했는지 등의 내용이 자세히 기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은 당시 이를 알지 못하다가 최근 김 지명자가 장관 물망에 오르면서 주변에서 얘기를 해줘 알게 됐다고 한다. 이 측근은 “비합리적인 일이긴 하지만 당시 시대적인 상황이 그랬다”며 “직접 고문한 이근안씨도 용서했는데 탄원서를 제대로 전달하지 않은 걸 갖고 지금까지 서운해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이 신임 법무장관에 대한 인사추천을 할 때 김 지명자가 제외된 데 대해서도 김 의장 쪽은 “과거 일들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은 임내현 당 법률구조위원장을 추천했었다.

이에 대해 김성호 지명자는 “당시 김 의장 부인이 김 의장이 수사 중 고문을 당했다는 취지의 고발장을 냈고 나는 당시 서울지검 특수부에서 그 사건을 배당받은 적이 있다”며 “그 뒤 86년 7월에 인사발령이 나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게 돼 고발사건도 후임자에게 넘겨주느라 수사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이근안씨 관련 사건의 탄원서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 지명자는 이날 김 의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이런 내용을 해명했으며, 김 의장은 “뭔가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고 김 지명자가 전했다.

이지은 기자, 연합뉴스 jieun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