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13 14:57 수정 : 2006.08.13 14:57

'동북아 정세 진단 바탕한 미래구상과 자세'
외교.안보 분야에 초점 맞춰질 듯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8.15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전달할 대국민 메시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광복절 경축사의 구체적 내용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연설의 주제는 '현재 동북아 정세 진단과 우리의 미래 대비 과제와 자세'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현재의 동북아 정세 진단을 바탕으로 한 대통령의 미래 구상이 담기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서 강조된 '키워드'는 해마다 그 초점이 달랐다.

취임 첫해인 2003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는 진정한 의미의 광복이라는 담론을 제시하며 '자주국방' 어젠다를 부각시켰고, 2004년에는 국민적 화합과 통합의 전제로서 '과거사 정리'를, 2005년에는 '분열 극복과 국민 통합' 과제를 제시했다.

이번 경축사에서도 주제의 포커스는 다르지만, 국가 도약을 위한 미래 지향적 과제 제시에 주력한다는 점은 일관돼 있다는 것이 청와대 설명이다.

특히 단기적 현안이나 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방침이나 '정치적 제안' 같은 내용은 담겨 있지 않다고 한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도 "이번 경축사는 미래를 내다볼 때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현재 우리가 해야 할 일이나, 이를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라는 부분을 다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연두 기자회견이 미래 과제중 양극화 해소를 위한 경제.사회적 대비책과 해법 마련에 초점이 있었다면, 이번 광복절 경축사는 외교.안보적 대비 과제와 자세가 강조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6자회담 복귀거부, 미사일 발사 등으로 국제적 고립을 자초하고 있는 북한의 움직임, '대북 선제공격' 발언 등으로 표출된 일본의 군사대국화 조짐 등 최근 동북아 정세에 대한 노 대통령의 종합적인 판단과 과제에 대한 '총정리용' 연설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노 대통령이 지난 9일 연합뉴스 특별회견에서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필요성을 강조하며 "우리 역사에 있어 자주국가로서의 위상을 바로세워야 하는 건 바로 세워야 한다"는 언급의 연장선상에서의 발언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 11위 대국이자, 병력수로는 세계 6위 군사강국으로서 자주국방을 위한 미래 비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구축을 위한 내용도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장래 한미동맹의 발전적 재구축, 동북아의 평화구조 문제도 이 같은 틀에서 자연스럽게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이번 광복절 경축사도 직접 연설문을 작성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정책실, 안보실을 비롯, 비서실에서 자료들과 의견은 올라갔지만 최종적으로 주제를 잡고, 연설 구조를 짜고 문장을 다듬고 하는 것은 대통령께서 직접 하신다"며 "내일 오후쯤 연설문 최종안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부터 경축사를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고, 하계 휴가기간 집중적으로 연설문 구상을 했고 지금까지 세차례 가량 참모들과 독회를 통해 방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