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유통원 설립에 소극적이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문화산업국장(당시에는 미디어국이 분리되기 전이었음) 시절 신문법을 입안하고 추진해서 오히려 애정이 많다. 언론노조에서 공배제 추진위가 따로 있었는데 거기 대표되는 사람하고 얘기 많이 했다. 우리가 나서서 아이디어를 주고 법안에 담았다. 그런데도 처음부터 소극적이었다고 하는 건 말이 안되는 얘기다. -문화부가 신문유통원 설립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이었던 것은 맞지 않나? =그건 예산 배정 과정에서 그렇게 된 건데, 아는 사람들은 그렇게 얘기 안한다. 정동채 전 장관에게 물어보라. -유통원이 월급을 못주고 있는 상황을 몰랐나? =몰랐다. 그것도 이백만 수석이 전화해서 알았다. 하도 황당해서 과장을 불러서 물어봤더니 예산이 안 풀려서 그랬던 거였다. -그럼 알고 있었다는 게 아니냐? =이게 다 올해 (차관이 된 뒤에) 벌어진 일이고, 나중에 알게 된 것이다. -신문법 관련 사항을 보수언론에 유출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답답한 얘기다. 도대체 말 같은 얘기를 해야지. 기자들 하고 통화했을 수는 있다. 그런데 내가 무슨 미친 놈도 아니고, 조선·동아를 찬성하는 편도 아니다. 오히려 그 신문들 만나면 “당신네들 문제 있다”고 말하는 편이다. -오락실 관련 정책의 실패도 거론된다. =업무에 관한 것은 문화부에 물어보면 된다. 정말 내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내 생각에서 얘기하면 주관적인 핑계밖에 안 되니까. -청와대 386을 비방했다고 하는데. =양정철 비서관을 비난했을 수는 있다. 굳이 그런 게 문제였다고 하면 그건 모르겠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는 얘기할 이유가 없다. 방금 이창동 장관이 전화를 해와서 이런 상황은 피하는 게 좋지 않냐고 하더라. 그래서 내가 그랬다. 내가 먼저 적극적으로 얘기를 한 것도 아니고, 처음에 동아일보가 보도하면서 일이 자꾸 커지고, 내가 거기 말려드는 형국이다. 처음부터 싸울 생각이었으면 벌써 얘기를 했을 거다. 나는 그럴 생각이 없어서 그냥 나온 것이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