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이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진행된 제61돌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청와대 사진기자단
|
‘책임과 용서’ 첫 언급…“후손 위해 화해의 길로”
노무현 대통령은 15일 제61돌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관계와 관련해 매우 정제되고 조심스런 언어로 중요한 ‘화두’를 던졌다. 특히 ‘북한이 저지른 전쟁과 납치’를 거론하며 ‘용서’를 강조한 대목은, 노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서 처음 언급한 것이다. 남북관계 언급에서 북한보다는 ‘대국민 메시지’ 쪽에 무게가 실렸다. 노 대통령은 “북한이 저지른 전쟁과 납치 등으로 고통받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북한에 대해 관용과 화해의 손을 내미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우리와 후손들의 평화롭고 번영된 삶을 위해선 넓은 마음과 긴 시야로 지난날을 용서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전쟁을 포함해 반세기를 넘긴 ‘적대와 증오’에서 비롯된 남북 양쪽의 다방면에 걸친 뿌리깊은 (체제간 및 두 체제 내부에서도 끊임없이 갈등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는) ‘근본 문제들’을 풀어나갈 준비를 해야 함을 ‘화두’로 제기한 셈이다. 그러려면 적대와 증오를 버리고 ‘용서와 관용’을 통해 ‘화해와 협력’의 길을 열어가는 발상과 태도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6자 회담과 관련해서는 북한과 미국에 두루 촉구와 호소를 했다. 북한엔 ‘조건 없는 6자 회담 복귀’를, 미국엔 “다양한 형태의 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라는 말로 북-미 양자 직접대화를 에둘러 촉구했다. 또 “6자 회담이 성공하면 미국은 동북아를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로 만드는 데 주도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는 말로, 미국이 건설적·적극적 태도를 보여줄 것을 주문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