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추가 대북제재 유예 요구 안해”
청와대는 19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지난 13일 워싱턴 방문 당시 헨리 폴슨 미 재무장관에게 북한의 주거래은행인 마카오 방코 델타 아시아(BDA) 조사의 조기 종결을 요구했다는 이태식(李太植) 주미 대사의 발언과 관련, "그러한 요청을 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BDA 문제는 폴슨 장관 접견시에 명시적으로 조기 종결을 제의하지 않았고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며 "다만 조사의 진행과정과 상황에 대해서 몰어본게 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당시 폴슨 장관에게 미국의 법 집행과 6자회담 재개 노력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지만, 접견에서 BDA 조사의 조기 종결을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송민순(宋旻淳) 청와대 안보실장도 이날 낮 언론재단 초청 오찬포럼에서 "정상회담에서 조기에 종결하라는 뜻의 이야기를 (노 대통령이) 한 적은 없다" 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또 한국 정부가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측에 추가적인 대북제재를 정상회담 이후로 유예해달라고 요청을 했다는 주미대사관 관계자를 인용한 보도와 관련, "이번 정상회담에서 대북제재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으며, 대북 추가제재 조치를 유예해달라는 요청도 없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이어 "추가 제재 문제는 현지(주미 대사관)에서 그런 기조를 가지고 노력을 했을지는 모르지만, 이쪽에서 공식적으로 그런 요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송 실장도 대북제재 유예 문제와 관련, "정상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고 강조한 뒤 "제재 문제에 대한 정부의 기본 입장은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검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라고 말했다. 그는 워싱턴 정상회담 전 한미 외교장관과 안보실장이 참여하는 회담(2+2)에서도 "제재 관련 대화는 없었다"고 말했다.그는 또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조치의 범위에 미국이 2000년 해제한 대북 제재를 복원하는 내용이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미국이 판단할 문제"라며 "미국이 제재할 때는 우리에 협의를 해오며, 그런 것이 도움이 되겠다, 안되겠다 등에 대해 의견을 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성기홍 이우탁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