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부.‘증권업계 출신 안된다’ 원칙 제시”
청와대는 12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 감사후보추천위원장을 사퇴한 경희대 권영준 교수가 감사인선 외압을 주장하며 배후로 인사수석실을 지목한데 대해 "증권선물거래소 감사 인선에 청와대가 압력을 행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인사수석실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증권선물거래소가 국가경제중추기능을 담당하는 공적 성격이 강한 기관이기 때문에 재경부측과 통상적 절차에 따른 인사협의가 있었지만, 재경부와 증권선물거래소에 압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행사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인사협의과정에서 감사는 경영진을 견제해야 한다는 원리에 따라 재경부 출신이나 증권업계 출신이 아니며, 감사 능력이 있는 제3의 인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원칙을 얘기했다"며 "그러나 특정인물에 대해 '시켜라 마라'라고 입장을 밝힌 적이 없다"고 말했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은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감사원 인사를 감사로 추천했다는 사실과 관련, "인사협의를 요청해왔기 때문에 경영진 견제 차원에서 재경부 출신이 아니라 감사원쪽이 어떻겠느냐는 의견표시는 한 것으로 안다"면서 "그것도 협의이지 외압차원은 아니며 특정인을 거명한 것도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당초 인선 협의 초기 재경부측으로부터 재경부 국장급 인사를 감사로 추천한다는 안을 전달받고 증권선물거래소의 이사장, 경영지원본부장, 전임 감사가 모두 재경부 출신이라는 점을 이유로 재경부 출신은 경영진에 대한 견제를 해야 할 감사로는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혔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증권선물거래소가 외국기업의 상장과 기업공개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증권업계 출신을 감사로 앉히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증권선물거래소 이사추천위원회가 감사 선임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으나 그런 원칙에 부합하는 사람을 찾는데 진통을 겪었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청와대가 외압을 행사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권 위원장이 감사 선임이 진척이 되지 않자 최근 인터넷 공모로 뽑는 방안을 제기했지만 '아직 두 명의 기존 후보자가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넷 공모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추천위 내부 다수의 반대의견에 따라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것 때문에 그만뒀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청와대 압력을 못 이겨 그만둔다는 얘기는 난센스"라고 말했다.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