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羅卿瑗)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문화일보 연재소설인) '강안남자'가 사회적 지탄을 받을 만큼 선정적인 지에 대한 판단은 시민사회의 몫이며, 사회적 윤리까지 재단하려 드는 것은 권력의 횡포"라며 "(절독조치를)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절독 사유와 관련, "신문의 한 코너의 선정성 문제때문에 내부 논의를 거쳐서 최종 결정됐다"며 "선임 비서관들이 각자 자기 비서실의 의견을 모아서 논의를 거쳐 결정을 했고 비서실장에게도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한나라당 등에서 제기하는 '신종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 소설의 선정성 때문에 비롯된 것"이라며 `절독 기한이 정해져 있느냐'는 질문에 "기한이 따로 정해져 있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열린우리당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신종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까지 해당 신문을 못 보게 한 것이라면 모르되 보던 신문을 안 보는 것을 갖고 언론탄압이라고 하는 것은 지나친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우 대변인은 청와대의 절독 조치에 대해서는 "`강안남자'의 선정성은 국회 문광위에서 다루면서 여야를 떠나 의원들간에 충분한 지적과 공감대가 있었는데, 문제제기 수준을 넘어서 절독까지 한 것은 다소 어색한 것 같다"고 말했다. 문화일보 연재소설의 선정성 논란은 지난달 13일 열린우리당 정청래(鄭淸來) 의원이 국회 문화관광위의 문화관광부 국정감사에서 제기하면서 시작됐고, 이후 문화일보와 정 의원간 신경전 양상으로 확대됐다. 김남권 김상희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
|
청와대 “선정성 때문 절독” - 한나라 “신종 언론탄압” |
청와대가 문화일보에 연재중인 소설 `강안남자'의 선정성을 이유로 청와대 내부에서 구독하던 문화일보 가운데 57부의 구독을 지난 2일자로 중단하기로 한 것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국정감사 때도 '강안 남자' 소설의 선정성 논란이 있었고, 청와대 여직원들로부터 여성의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신문을 사무실에 두고 읽기가 민망하다는 건의들이 있었기 때문에 선임비서관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절독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6일 청와대의 절독 조치를 권력의 횡포이자 신종 언론탄압이라며 비판하고 나섰고,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은 소설의 선정성 때문에 자체적으로 절독을 결정한 것을 두고 권력의 횡포 운운하는 것은 과도한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황우여(黃祐呂) 사무총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가 4년간 연재된 소설이 선정성 이 있다는 이유로 문화일보를 절독했는데 석간으로 중요한 정치기사를 내고 있는 신문을 읽지 않고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그간 (기사는 안 보고) 소설만 읽었다는 얘기인지 의심이 든다. 국민이 우려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나경원(羅卿瑗)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문화일보 연재소설인) '강안남자'가 사회적 지탄을 받을 만큼 선정적인 지에 대한 판단은 시민사회의 몫이며, 사회적 윤리까지 재단하려 드는 것은 권력의 횡포"라며 "(절독조치를)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절독 사유와 관련, "신문의 한 코너의 선정성 문제때문에 내부 논의를 거쳐서 최종 결정됐다"며 "선임 비서관들이 각자 자기 비서실의 의견을 모아서 논의를 거쳐 결정을 했고 비서실장에게도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한나라당 등에서 제기하는 '신종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 소설의 선정성 때문에 비롯된 것"이라며 `절독 기한이 정해져 있느냐'는 질문에 "기한이 따로 정해져 있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열린우리당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신종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까지 해당 신문을 못 보게 한 것이라면 모르되 보던 신문을 안 보는 것을 갖고 언론탄압이라고 하는 것은 지나친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우 대변인은 청와대의 절독 조치에 대해서는 "`강안남자'의 선정성은 국회 문광위에서 다루면서 여야를 떠나 의원들간에 충분한 지적과 공감대가 있었는데, 문제제기 수준을 넘어서 절독까지 한 것은 다소 어색한 것 같다"고 말했다. 문화일보 연재소설의 선정성 논란은 지난달 13일 열린우리당 정청래(鄭淸來) 의원이 국회 문화관광위의 문화관광부 국정감사에서 제기하면서 시작됐고, 이후 문화일보와 정 의원간 신경전 양상으로 확대됐다. 김남권 김상희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
나경원(羅卿瑗)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문화일보 연재소설인) '강안남자'가 사회적 지탄을 받을 만큼 선정적인 지에 대한 판단은 시민사회의 몫이며, 사회적 윤리까지 재단하려 드는 것은 권력의 횡포"라며 "(절독조치를)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절독 사유와 관련, "신문의 한 코너의 선정성 문제때문에 내부 논의를 거쳐서 최종 결정됐다"며 "선임 비서관들이 각자 자기 비서실의 의견을 모아서 논의를 거쳐 결정을 했고 비서실장에게도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한나라당 등에서 제기하는 '신종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 소설의 선정성 때문에 비롯된 것"이라며 `절독 기한이 정해져 있느냐'는 질문에 "기한이 따로 정해져 있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열린우리당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신종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까지 해당 신문을 못 보게 한 것이라면 모르되 보던 신문을 안 보는 것을 갖고 언론탄압이라고 하는 것은 지나친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우 대변인은 청와대의 절독 조치에 대해서는 "`강안남자'의 선정성은 국회 문광위에서 다루면서 여야를 떠나 의원들간에 충분한 지적과 공감대가 있었는데, 문제제기 수준을 넘어서 절독까지 한 것은 다소 어색한 것 같다"고 말했다. 문화일보 연재소설의 선정성 논란은 지난달 13일 열린우리당 정청래(鄭淸來) 의원이 국회 문화관광위의 문화관광부 국정감사에서 제기하면서 시작됐고, 이후 문화일보와 정 의원간 신경전 양상으로 확대됐다. 김남권 김상희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