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권력을 통째로 내놓으라면 검토하겠다. 더 큰 요구가 있으면 검토하겠다"(8월25일, KBS '참여정부 2년6개월, 대통령에게 듣는다'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정치문화가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전제된다면 2선 후퇴나 임기단축을 통해서라도 노무현 시대를 마감하고 새 시대를 시작할 수 있다는 의지와 결단도 생각해봤다"(8월30일, 열린우리당 의원 초청 만찬간담회에서) ◇ 2006년 ▲"대연정을 제안한 이후 당에 피해를 입히는 것 같아 당시 당 지도부에 탈당 얘기를 꺼낸 적이 있다. 당시 반대가 심해서 못했다"(1월11일,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만찬간담회에서) ▲"당내에서 탈당을 말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탈당하겠다는 뜻으로 말한 게 아니라 당내에서 그런 얘기도 나오니 옛날 얘기를 과거형으로 말한 것이다"(1월25일, 신년기자회견에서 1월11일 `탈당' 관련 발언을 해명하면서) ▲"대통령 임기 5년이 긴 것 같다. 선거 변수가 끊임없이 끼어들기 때문에 국정이 끊임없이 흔들린다"(2월26일, 취임3주년 청와대 출입기자들과의 북악산 산행에서) ▲"나 때문에 당이 피해를 입을 때는 당적을 정리하고 싶더라. 작년 대연정 때 그랬다"(3월17일, 여야 5당 원내대표들과의 청와대 초청 만찬자리에서) ▲"선거 참패후 당이 이렇게 어렵게 됐는데 떠나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다. 당적을 유지하겠다"(6월3일, 5.31 지방선거 참패 직후 열린우리당의 정동영 전의장, 김한길 원내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당의 어려운 상황을 잘 알고 있고, 당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있다. 탈당을 하지 않겠다"(6월29일,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청와대 만찬간담회에서) ▲"탈당은 절대 하지 않겠다. 임기가 끝난 후에도 백의종군의 마음으로 당과 함께 할 것이다" "마지막 순간까지 책임을 지고 싶다. 책임지는 대통령으로 남을 수 있도록 인사권을 존중해달라"(8월6일, 김병준 교육부총리 파문 속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오찬회동에서) ▲"퇴임 이후 당에 돌아가고 싶은데 고문이라도 시켜달라"(8월7일,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청와대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두 분은 임기 말에 벼랑 끝으로 밀렸지만 나는 임기 말에 국정 공백이 생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8월13일, 4개 신문사 논설위원들과의 비공개 오찬에서) ▲"대통령 임기말까지 (국정을) 장악하고 가는 것이 국민들에게 책임지는 것 아니냐. 임기말에 흔들리다 보면 고스란히 국가적 위기나 어려움으로 가는 만큼 도와달라"(8월18일, 열린우리당 운영위.문광위 소속 의원들과의 만찬에서) ▲"탈당하지 않을 것이다. 퇴임하더라도 내 나이가 젊은데 좋은 사람들과 함께 당에 끝까지 남아있고 싶다. 그러나 총선.대선에 대통령이 걸림돌이 된다면…"(8월24일, 열린우리당 소속 재선 의원들과의 만찬간담회에서) ▲"임기를 1년여 남겨두고 있지만 임기를 마치는 그날까지 국정운영의 끈을 놓지 않겠으며, 지금 해야 할 일을 회피하지 않고, 책임있게 해나갈 것이다"(11월6일, 새해 예산안 제출 관련 시정연설에서) ▲"만일 당적을 포기해야 되는 상황까지 몰리면 임기 중에 당적을 포기하는 네 번째 대통령이 될 것이다. 가급적 그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지만 그 길 밖에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임기동안 임무를 원활히 수행하자면 이런저런 타협과 굴복이 필요하면 해야 될 것 아닌가 생각한다. 다만 임기를 다 마치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11월28일, 국무회의에서 전날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철회한 데 대한 심경을 밝히며)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
노대통령 ‘당적’ ‘임기’ 관련 주요발언록 |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8일 "임기를 다 마치지 않는 첫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희망도 갖고 있다"면서 "(당적을 포기하는) 길 밖에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노 대통령의 당적 및 임기 관련 주요 발언록이다.
◇ 2003년
▲"전부 힘으로 하려 하니 대통령이 다 양보할 수도 없고, 이러다 대통령직을 못해 먹겠다는 생각이, 위기감이 든다"(5월21일, 5.18 행사추진위 간부들과의 면담에서)
▲"수사가 끝나면 그 결과가 무엇이든 간에 이 문제를 포함해 그동안 축적된 국민 불신에 대해서 국민에게 재신임을 묻겠다"(10월10일,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SK비자금 수수의혹과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 2005년
▲"취임후 첫 국회연설에서 국회가 지역구도 문제의 해결에 동의한다면 대통령이 가진 권한의 절반 이상을 내놓을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지금도 될 수만 있다면 그 이상의 것이라도 내놓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7월6일, '우리 정치, 진지한 토론이 필요하다' 대통령 서신에서)
▲"우리 정치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한다면 대통령 권력을 내놓겠다. 내각제 수준으로 대통령의 권한을 이양할 용의가 있다. 선거를 다시 하기는 그러니까 실질적으로 권력을 이양하면 되지 않겠느냐. 진지하게 지역구도 해소하는 문제로 대통령과 협상한다면 그 이상의 것도 협상할 용의가 있다"(7월7일,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정권을 내놓더라도 선거제도 고치고 싶다"(7월29일, 기자간담회에서)
▲"(한나라당이) 권력을 통째로 내놓으라면 검토하겠다. 더 큰 요구가 있으면 검토하겠다"(8월25일, KBS '참여정부 2년6개월, 대통령에게 듣는다'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정치문화가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전제된다면 2선 후퇴나 임기단축을 통해서라도 노무현 시대를 마감하고 새 시대를 시작할 수 있다는 의지와 결단도 생각해봤다"(8월30일, 열린우리당 의원 초청 만찬간담회에서) ◇ 2006년 ▲"대연정을 제안한 이후 당에 피해를 입히는 것 같아 당시 당 지도부에 탈당 얘기를 꺼낸 적이 있다. 당시 반대가 심해서 못했다"(1월11일,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만찬간담회에서) ▲"당내에서 탈당을 말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탈당하겠다는 뜻으로 말한 게 아니라 당내에서 그런 얘기도 나오니 옛날 얘기를 과거형으로 말한 것이다"(1월25일, 신년기자회견에서 1월11일 `탈당' 관련 발언을 해명하면서) ▲"대통령 임기 5년이 긴 것 같다. 선거 변수가 끊임없이 끼어들기 때문에 국정이 끊임없이 흔들린다"(2월26일, 취임3주년 청와대 출입기자들과의 북악산 산행에서) ▲"나 때문에 당이 피해를 입을 때는 당적을 정리하고 싶더라. 작년 대연정 때 그랬다"(3월17일, 여야 5당 원내대표들과의 청와대 초청 만찬자리에서) ▲"선거 참패후 당이 이렇게 어렵게 됐는데 떠나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다. 당적을 유지하겠다"(6월3일, 5.31 지방선거 참패 직후 열린우리당의 정동영 전의장, 김한길 원내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당의 어려운 상황을 잘 알고 있고, 당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있다. 탈당을 하지 않겠다"(6월29일,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청와대 만찬간담회에서) ▲"탈당은 절대 하지 않겠다. 임기가 끝난 후에도 백의종군의 마음으로 당과 함께 할 것이다" "마지막 순간까지 책임을 지고 싶다. 책임지는 대통령으로 남을 수 있도록 인사권을 존중해달라"(8월6일, 김병준 교육부총리 파문 속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오찬회동에서) ▲"퇴임 이후 당에 돌아가고 싶은데 고문이라도 시켜달라"(8월7일,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청와대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두 분은 임기 말에 벼랑 끝으로 밀렸지만 나는 임기 말에 국정 공백이 생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8월13일, 4개 신문사 논설위원들과의 비공개 오찬에서) ▲"대통령 임기말까지 (국정을) 장악하고 가는 것이 국민들에게 책임지는 것 아니냐. 임기말에 흔들리다 보면 고스란히 국가적 위기나 어려움으로 가는 만큼 도와달라"(8월18일, 열린우리당 운영위.문광위 소속 의원들과의 만찬에서) ▲"탈당하지 않을 것이다. 퇴임하더라도 내 나이가 젊은데 좋은 사람들과 함께 당에 끝까지 남아있고 싶다. 그러나 총선.대선에 대통령이 걸림돌이 된다면…"(8월24일, 열린우리당 소속 재선 의원들과의 만찬간담회에서) ▲"임기를 1년여 남겨두고 있지만 임기를 마치는 그날까지 국정운영의 끈을 놓지 않겠으며, 지금 해야 할 일을 회피하지 않고, 책임있게 해나갈 것이다"(11월6일, 새해 예산안 제출 관련 시정연설에서) ▲"만일 당적을 포기해야 되는 상황까지 몰리면 임기 중에 당적을 포기하는 네 번째 대통령이 될 것이다. 가급적 그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지만 그 길 밖에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임기동안 임무를 원활히 수행하자면 이런저런 타협과 굴복이 필요하면 해야 될 것 아닌가 생각한다. 다만 임기를 다 마치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11월28일, 국무회의에서 전날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철회한 데 대한 심경을 밝히며)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나라당이) 권력을 통째로 내놓으라면 검토하겠다. 더 큰 요구가 있으면 검토하겠다"(8월25일, KBS '참여정부 2년6개월, 대통령에게 듣는다'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정치문화가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전제된다면 2선 후퇴나 임기단축을 통해서라도 노무현 시대를 마감하고 새 시대를 시작할 수 있다는 의지와 결단도 생각해봤다"(8월30일, 열린우리당 의원 초청 만찬간담회에서) ◇ 2006년 ▲"대연정을 제안한 이후 당에 피해를 입히는 것 같아 당시 당 지도부에 탈당 얘기를 꺼낸 적이 있다. 당시 반대가 심해서 못했다"(1월11일,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만찬간담회에서) ▲"당내에서 탈당을 말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탈당하겠다는 뜻으로 말한 게 아니라 당내에서 그런 얘기도 나오니 옛날 얘기를 과거형으로 말한 것이다"(1월25일, 신년기자회견에서 1월11일 `탈당' 관련 발언을 해명하면서) ▲"대통령 임기 5년이 긴 것 같다. 선거 변수가 끊임없이 끼어들기 때문에 국정이 끊임없이 흔들린다"(2월26일, 취임3주년 청와대 출입기자들과의 북악산 산행에서) ▲"나 때문에 당이 피해를 입을 때는 당적을 정리하고 싶더라. 작년 대연정 때 그랬다"(3월17일, 여야 5당 원내대표들과의 청와대 초청 만찬자리에서) ▲"선거 참패후 당이 이렇게 어렵게 됐는데 떠나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다. 당적을 유지하겠다"(6월3일, 5.31 지방선거 참패 직후 열린우리당의 정동영 전의장, 김한길 원내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당의 어려운 상황을 잘 알고 있고, 당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있다. 탈당을 하지 않겠다"(6월29일,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청와대 만찬간담회에서) ▲"탈당은 절대 하지 않겠다. 임기가 끝난 후에도 백의종군의 마음으로 당과 함께 할 것이다" "마지막 순간까지 책임을 지고 싶다. 책임지는 대통령으로 남을 수 있도록 인사권을 존중해달라"(8월6일, 김병준 교육부총리 파문 속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오찬회동에서) ▲"퇴임 이후 당에 돌아가고 싶은데 고문이라도 시켜달라"(8월7일,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청와대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두 분은 임기 말에 벼랑 끝으로 밀렸지만 나는 임기 말에 국정 공백이 생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8월13일, 4개 신문사 논설위원들과의 비공개 오찬에서) ▲"대통령 임기말까지 (국정을) 장악하고 가는 것이 국민들에게 책임지는 것 아니냐. 임기말에 흔들리다 보면 고스란히 국가적 위기나 어려움으로 가는 만큼 도와달라"(8월18일, 열린우리당 운영위.문광위 소속 의원들과의 만찬에서) ▲"탈당하지 않을 것이다. 퇴임하더라도 내 나이가 젊은데 좋은 사람들과 함께 당에 끝까지 남아있고 싶다. 그러나 총선.대선에 대통령이 걸림돌이 된다면…"(8월24일, 열린우리당 소속 재선 의원들과의 만찬간담회에서) ▲"임기를 1년여 남겨두고 있지만 임기를 마치는 그날까지 국정운영의 끈을 놓지 않겠으며, 지금 해야 할 일을 회피하지 않고, 책임있게 해나갈 것이다"(11월6일, 새해 예산안 제출 관련 시정연설에서) ▲"만일 당적을 포기해야 되는 상황까지 몰리면 임기 중에 당적을 포기하는 네 번째 대통령이 될 것이다. 가급적 그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지만 그 길 밖에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임기동안 임무를 원활히 수행하자면 이런저런 타협과 굴복이 필요하면 해야 될 것 아닌가 생각한다. 다만 임기를 다 마치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11월28일, 국무회의에서 전날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철회한 데 대한 심경을 밝히며)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