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18 18:58 수정 : 2006.12.18 18:58

“사저에만 있을 수는 없다” 파장

“노무현 대통령은 올해 환갑을 맞았다. 퇴임 이후 사저에만 있을 수는 없다. 정치문화나 사회적 요구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참여할 수 있다고 본다. 재임기간 동안의 경험을 어떻게 사회화할 것인가 연구하고, 재임기간 중 못한 것을 후학에게 전수할 필요도 있다. 우리 사회가 넓은 마음으로 바라봐야 할 시점이다.”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은 18일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노 대통령의 퇴임 이후 구상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이 실장은 “노 대통령이 정치 일선에 나서는 것은 맞지 않다. 은퇴 문화를 새롭게 모색한다는 점에서 노 대통령이 생각을 가다듬고 계신 걸로 안다”는 전제를 깔았다. 활동은 하겠지만 ‘정치활동’은 아니란 뜻이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이 실장의 발언을 비상한 관심을 갖고 바라보고 있다. 최근 노 대통령이 정계개편 방향에 관해 열린우리당 당원들에게 편지를 보낸 것처럼, 퇴임 이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는 게 아니냐고 보는 이들도 있다.

노 대통령은 과거 어느 대통령보다 자신의 퇴임 이후를 자주 언급해왔다. 2005년 5월 “제 욕심은 은퇴하면 내 아이들이 자기 아들을 데리고 찾아갈 수 있는 시골에 가서 터 잡고 살면 어떨까 한다”는 발언으로 ‘낙향 희망’을 피력했던 그는 그해 9월 “임기가 끝나면 숲을 가꾸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올해 8월27일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노사모) 핵심 회원들과의 다과회에서, 그는 “지난번 대선 때는 우리가 (정치언론들의) 그 엄청난 포격을 견뎌냈는데, 내가 지금 그걸 다시 끌고 나가볼까 한다. 기회를 놓쳤는지 아니면 그때와 같은 동력과 영감이 없는지, 잘못하고 있지만 지금 머리를 짜내고 있다”며 “언론과 정치 분야에서 손을 떼지 않겠다”고 말했다.

여당에선 노 대통령의 잇딴 ‘퇴임 이후 발언’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열린우리당의 한 재선의원은 “대통령이 계속해서 퇴임 이후의 행보를 언급하는 건, 퇴임 이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그러나 지금 필요한 것은 퇴임 이후의 거취가 아니라 지금 민생 현안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퇴임 뒤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것 말고는 아직 아무 것도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다른 핵심 측근도 “아직 임기를 마치려면 1년 이상 남았다. 지금은 퇴임 뒤 구상을 구체화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 내년 하반기쯤에나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낙향과 자신의 경험을 정치·사회적 자산으로 만드는 새로운 퇴임 대통령이 되겠다는 정도의 초기 구상을 하는 단계일 뿐이라고 설명한다.신승근 이태희 기자 skshin@hani.co.kr

노 대통령 퇴임 뒤 구상 발언록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