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26 16:21 수정 : 2006.12.26 16:21

‘대선 선심용 정책’ 비판에 반박
“정책 수립 못하면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간다”

청와대는 26일 군 복무기간 단축, `반값아파트' 정책 등 최근 정부가 검토중인 일련의 정책에 대해 야당과 일부 언론이 `대선 선심용 정책'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 "임기가 1년 남은 정부가 아무런 정책수립을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며 반박했다.

청와대는 이날 홍보수석실 김성재 행정관 명의의 청와대 브리핑 글을 통해 "정책의 목표나 타당성, 필요성에는 눈을 감고 무조건 `대선용이니 안된다'고 하면 정부는 일손을 놓고 놀아야 한다는 것인가"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청와대는 "정부에게 출범 첫 1년이나 남은 1년은 모두 정책수행을 위한 중요한 기간"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정부가 검토하고 발표하는 정책마다 일부 언론과 야당이 `대선용 카드' `선심성 정책'이라고 비판하고 있다"며 "임기 1년 남겨둔 정부의 정책이 모두 `대선용'이요 `선심성'이라면 정부는 그 순간부터 어떤 정책수립도, 책임있는 정책수행도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논란이 되고 있는 `군 복무기간 단축 검토' 계획과 관련, "이는 이미 2004년 하반기부터 연구가 시작돼 1년 반 이상 검토한 끝에 전반적인 정책사항을 고려해 내놓은 병역 개선안"이라며 특히 이미 발표된 `비전 2030'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이자 `국방개혁 2020'의 국회 통과 지연으로 공표를 미뤄온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런 맥락에서 ▲반값 아파트 정책 ▲제2의 국토균형발전계획 ▲서남권 종합발전구상 ▲기초노령연금제 ▲근로장려세제 등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일련의 정책을 `대선용 카드'라고 비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세계 어떤 나라도 정부가 선거를 앞두고 국정수행을 중단하는 일은 없다. 모든 정책을 '대선의 시각'으로 보지 말고 국민의 입장에서 판단하고 평가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