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3.30 23:53
수정 : 2007.03.31 00:05
|
한미 FTA협상 타결시한을 앞둔 30일 늦은 밤 청와대 본관 일부와 비서동 일부가 불을 밝힌 채 정중동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시한인 31일 오전 7시를 앞두고 협상 타결 여부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청와대는 협상장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비상 체제에 들어갔다.
중동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도 30일 오전 청와대에서 김현종(金鉉宗) 통상교섭본부장, 김종훈(金宗壎) 한미 FTA 수석대표 등 협상단으로부터 협상 상황을 보고받고 쇠고기, 자동차, 섬유 등 핵심 쟁점 사항들에 대한 최종 협상 지침을 시달하고, 협상 전권을 위임했지만 이날 심야 늦게까지 막판 협상과정을 시시각각으로 보고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한미 FTA 관련 참모들도 퇴근하지 않고 비상 대기하면서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협상단에 모든 협상의 재량권이 위임됐지만, 대통령의 판단이 필요할 경우에 대비해 한미 FTA 관련 라인은 모두 대기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들은 협상 타결 전망에 대해서는 언급을 극도로 자제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그만큼 한미 양국 협상 대표단이 마지막 순간까지 하나라도 더 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분투하는 상황에서 섣부른 낙관적 또는 비관적 전망은 협상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는 판단이 있기 때문이다.
한 관계자는 "협상장 상황은 흡사 육박전을 벌이는 것과도 같다"며 "현 시점에서 뭐라고 예단하기가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한미 FTA가 타결 또는 결렬될 두 가능성에 모두 대비해 준비는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 마감일인 31일 오전 9시 문재인(文在寅) 비서실장 주재로 긴급 수석.보좌관 회의를 개최할 방침이라고 청와대 대변인인 윤승용(尹勝容) 홍보수석이 밝혔다.
타결되는 쪽으로 방향이 잡힐 경우 노 대통령은 일요일인 1일 전 부처 장.차관과 대통령 국정과제위원, 청와대 수석.보좌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미 FTA 워크숍을 개최해 범 정부적 차원의 후속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29일 전화통화를 통해 양측 협상단에 "최대한 유연한 협상을 하라"라고 지시를 했던 노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간의 2차 전화통화를 통해 극적 타결을 모색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필요하면 할 수도 있지만, 현재 그런 움직임은 없다"고 말했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