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의 공격과 당사자 반응
|
노대통령 ‘참평 포럼’ 4시간 열변
노무현 대통령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참여정부평가포럼(참평포럼) 월례강연에서 무려 4시간 동안 현실 정치와 현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드러냈다. 특강의 주제는 ‘21세기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였다. 참평포럼은 애초 특강이 2시간 가량 진행될 것이라고 했지만 노 대통령이 시간을 더 달라고 요청해, 2시간 강연이 끝나고 20분 정도 쉰 뒤 다시 2시간짜리 ‘2부 강연’이 이어졌다. 노 대통령은 “(원고를) 며칠을 쓰고 어젯밤 12시까지 쓰고 조금 전 12시10분까지 썼다”며 이번 연설에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를 내비쳤다. 참여정부 핵심 지지자들인 참석자들은 노 대통령 연설 도중 100번 안팎의 박수와 환호를 보냈고, 연설이 끝난 뒤엔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이란 노래를 함께 불렀다. 다음은 노 대통령 연설의 주요 내용이다. “멀쩡한 경제 살리겠다는데 무슨 약을 먹일지 불안” ■ “한나라당 집권 끔찍해”=한나라당이 정권을 잡으면… 이게 좀 끔찍하다. 무책임한 정당이다. 그 당 후보들의 공약을 보아도… 한마디로 부실하다는 생각이 든다. 대운하, 열차 페리 등의 사업들을 두고 옥신각신하고 있는데 두 사업비를 다 보태도 참여정부 균형발전 투자의 5분의 1도 안 된다. 대운하 사업에 민자 유치를 한다고 하지만, 어디 제정신 가진 사람이 대운하 사업에 투자하겠냐? 17조든 14조든 대운하 사업에 재정투자를 하면 재정이 큰일난다. 열차 페리는 내가 2000년 해양수산부 장관 시절에 타당성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지금 경제를 파탄이라고 얘기하고, 7% 성장을 공약하는 사람들은 멀쩡하게 살아 있는 경제를 자꾸 살리겠다고 한다. 멀쩡한 사람한테 무슨 주사를 놓을지, 무슨 약을 먹일지 불안하지 않은가? 잘 감시하자. ■ “범여권, 대통합과 후보 단일화 병행해야”=1997년과 2002년에는 당을 합치지 않고 단일화해서 선거에서 승리했다. 대통합에 매달려서 탈당으로 대세를 몰아가려는 것은 외통수 전략이다. 위험하다. 내가 대통합을 반대한다고 쓰지는 마라. 이제 엎질러진 물이다. 대통합과 후보 단일화를 병행하여 추진해야 한다. 이번 선거는 정책 대결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정책 대결을 할 만한 중요한 쟁점이 점차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열린우리당 등은) 대통령과 각을 세우려고 하지 말고 한나라당과 각을 좀 세워 주기 바란다. ■ 범여권 주자도 비판=범여권이라는 용어는 전혀 근거가 없다. (‘범여권’이란 표현 대신에) ‘반한나라 연대’로 부르면 된다. 백보 양보해서 다른 사람들은 과거의 인연이라도 있지만 손학규씨가 왜 여권이냐? 이것은 정부에 대한 모욕이다. 또 장관을 지내고 나가서 무슨 감정 상한 일도 없는데 오로지 대선전략 하나만으로 차별화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내가 사람을 잘못 본 것인가, 그런 생각을 했다. 나는 적어도 국정 운영에 대한 기회,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가 민생을 쾌도난마로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지가 낮아서 지금 차별화를 하는 거 아니냐? 그러면 지지도가 그때보다는 조금 올랐으니까 다시 와서 줄 서야 되는 거 아닌가? ■ “언론개혁 안하면 자전거일보 부활”=이대로 넘겨주면 다음 정부에서는 기자실, 사무실 무단출입, 가판, 자전거일보가 다시 부활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제2차 브리핑제도 개선을 한 것이다. 언론의 이기주의가 너무 지나치다. 기자실이 있는 일본은 언론자유 53위이고, 미국은 51위이고, 참여정부의 언론 자유는 31위라는 사실은 왜 보도하지 않나? 대선 주자들이 국정홍보처 폐지까지 들고 나오는 것은 정말 지나치다. 국정홍보처가 불법이라도 했냐? 설사 불법을 했다 치더라도 국가기관을 폐지할 일은 아니다. 차떼기 하고 공천헌금 받은 정당도 문을 닫지는 않았다.■ “참여정부의 진보는 합리적 진보”=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맞는 정책이라야 성공할 수 있다. 현실 돌아가는 이치에 맞는 진보적 정책, 이것이 민주노동당과 (참여정부가) 다르다. 재원 조달이 가능한, 시장 친화적인 진보다. 또 개방의 문제도 이념의 문제로 볼 이유가 없다. 그래서 능동적 개방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점이 기존의 진보와 다르다. 반미 또한 사대주의다. 미국을 배타적으로 배척할 이유는 없으며, 바로잡을 것만 냉정하게 바로잡으면 된다. 참여정부의 진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 ‘합리적 진보’가 가장 포괄적인 용어라고 생각한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2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참여정부평가포럼 행사에서 특별강연을 마친 뒤 환호하는 참석자들에게 손을 들어 답례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참여정부 평가포럼’이란?=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비롯해 참여정부에 몸담았던 장·차관 출신 인사들, 그리고 안희정·명계남·이기명씨 등 노무현 대통령 측근 인사들이 모여, 지난 4월 ‘참여정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목표로 창립한 모임이다. 그러나 최근 지역 조직까지 만들면서 친노 세력 결집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