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던 중 생각에 잠겨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취임초 ‘20년집사 최도술 11억수수’ 이상의 충격
참모들 “사실이라면…배신…일도 손에 안잡혀”
“노대통령 일절 말 없어”…어떻게 대응할지 촉각
청와대가 깊은 시름과 충격에 휩싸였다.
정윤재 전 의전비서관이 수천만원의 부정한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이른바 ‘측근 비리’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정아-변양균 전 정책실장 파문에 이어 정 전 비서관의 수뢰 혐의까지 겹치면서 임기말 청와대에 난기류가 흐르고 있다.
정 전 비서관이 검찰에 출두한 18일 청와대의 공식 반응은 여전히 조심스러웠다. “검찰이 (혐의를) 확인해주지 않는 지금은 어떤 입장도 밝힐 단계가 아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 전 비서관의 수천만원 수수설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러나 청와대 내부는 거의 넋이 나간 분위기다. 변양균 전 실장에 대한 영장 청구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정 전 비서관이 건설업자한테 수천만원의 돈을, 그것도 노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의전비서관 시절 받았다는 혐의 내용에 할 말을 잃고 있다. 노 대통령의 핵심 측근 인사는 “그동안 보수언론이 아무리 참여정부를 공격해도 ‘그래 너희는 떠들어라, 우린 떳떳하다. 버틸 수 있다’고 자신했다. 임기 초 대선자금 수사 때 검찰이 핵심 참모들과 그 친인척의 계좌를 뒤질 때도 우린 도덕성에는 자신감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힘이 빠지고, 일도 손에 안 잡힌다. 참여정부 출범 뒤 지금처럼 힘든 때는 처음이다”라고 말했다.
당장 노 대통령의 대응이 초미의 관심사다. 노 대통령은 깊은 고뇌에 빠졌다. 그는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검찰 수사 결과 그(정 전 비서관)에게 심각한 불법행위가 있었다면 ‘측근 비리’라고 이름을 붙여도 변명하지 않겠다”고 말한 바 있다. 한 핵심 참모는 “대통령은 정 전 비서관 문제에 대해 일절 말씀이 없다”며 “스스로 ‘인연이 깊은 사람’이라고 말한 측근이 구속될 수도 있는 상황이니 대통령의 배신감과 분노가 오죽하겠느냐”고 말했다.
|
건설업자 김상진씨한테서 수천만원을 받아 피내사자로 소환된 정윤재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18일 오전 굳은 표정으로 측근과 함께 부산지검 청사로 들어오고 있다. 부산/연합뉴스
|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