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서울 삼청동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에서 열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농림부.농진청.산림청 업무보고에서 최경환 경제2분과 간사(왼쪽)가 정부측 실무진과 인사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
조직 역시 이에 맞춰 농산물유통국을 농산물유통식품산업국으로 개편하고 관련 인력도 충원했다. 그러나 새 정부의 '농림-식품업무 일원화' 계획이 식품산업육성 뿐 아니라 현재 보건복지부 관할인 식품안전 업무까지 모두 농림부에 몰아주겠다는 것인지는 아직 뚜렷하지 않은 상태다. 일단 이날 오후로 예정된 농림부측 보고에는 식품안전 업무에 관한 내용까지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향후 정부 조직개편과 맞물려 논의될 문제라는 판단에서다. ◇ 농지 공장부지.택지 전환 규제 완화 이 대변인은 농업진흥지역내 농지대체 제도 완화에 대해서도 "가닥이 잡혀있다"고 밝혔다. 농업진흥지역 제도는 지난 92년 식량을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하는 데 필요한 우량 농지를 보전 관리하기 위해 도입됐다. 현재 전국 국토의 약 11%인 106만3천ha가 농업진흥지역으로 지정돼있다. 현행 농지법에는 시.도지사가 필요에 따라 농업진흥지역내 토지를 공장부지나 택지 등으로 사용하도록 농업진흥지역 지정을 해제할 경우, 농림부장관이 해제 면적에 상응하는 새로운 농업진흥지역을 지정토록 명령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재계 등은 이 규제를 공장용지 부족의 원인으로 지목하며 폐지를 주장해왔고, 이 당선자 역시 선거 과정에서 문제 해결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농림부도 이미 이같은 요구에 대응, 농업진흥지역 규제를 계속 완화해왔던터라 대체농지 지정 제도의 완전 폐지까지 검토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작년 하반기 농림부는 농업진흥지역 재조정을 위해 경지정리가 제대로 안돼 기계화 영농이 불가능하거나 침수가 잦은 농지의 경우 우선 농업진흥지역에서 해제키로 방침을 정했다. 이밖에 이날 농림부 업무보고에서는 이 당선자측의 10대 농업정책 공약을 중심으로 쌀 목표가 동결, 농업인 악성채무자 부채.이자 동결 등의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