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1.13 19:29 수정 : 2008.01.14 17:45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3일 오전 서울 삼청동 인수위에서 이명박 당선인에게 차기 정부 중점 국정과제 155개를 선정해 보고하는 동안, 인수위 실무자들이 회의실 창을 통해 이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인수위원 ‘언론인 성향조사’ 파문
인수위 “공무원이 오버” 해명했지만 석연찮아
실제 조사 여부·문건 이용 목적 등 의문 남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서둘러 언론사 간부 성향 조사 파문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석연찮은 해명으로 의문이 오히려 커지고 있다. 이명박 당선인은 13일 인수위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인수위의 ‘옥에 티’다. 잘 맞지 않는 사람이 인수위에 참여했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인수위의 해명에 석연찮은 점이 많아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파견 공무원의 돌출행동?=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문화부 파견 박 아무개 국장이 일에 열중하다가 오버를 한 셈”이라며 “인수위 내부 지시는 결단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런 해명으로 의혹이 해소될 것 같지는 않다. 박 국장은 문화부에서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운영단장, 문화중심도시 추진기획단 정책관리실장 등을 지냈다. 이런 경력을 가진 그가 할 일을 궁리하다 갑자기 언론사 간부들의 성향 파악에 나섰다는 것은 설득력이 약하다. 게다가 요구 자료에선 ‘주요 광고주 업체 대표’ 등도 파악하도록 돼 있어 박 국장의 능력 범위를 넘어선다.

파견 공무원 신분인 박 국장이 인수위 보고계통을 무시했다는 점도 의문이 생기는 대목이다. 이동관 대변인은 “부처에 주요 자료를 요구할 때는 인수위원장의 사전 결재를 얻어야 하고, 긴급한 경우에도 반드시 사후 보고를 하도록 규정돼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인수위 안에서도 “박 국장이 위험을 감수할 만한 배후가 인수위 안에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언론은 “인수위 비서실의 한 관계자가 ‘진원지를 파악한 결과 인수위 사회교육문화분과의 아무개 전문위원이 박 전문위원에게 조사를 지시했다는 정황이 나왔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언론사 간부 성향조사 관련 인수위 해명과 의문점

■성향 조사는 없었나=이동관 대변인은 “박 국장이 보낸 자료의 답신에는 각 언론사 정치·문화부장을 중심으로 한 200여명의 소속사와 직책, 이름, 연락처 등 기초 자료만 있을 뿐 성향 부분은 공란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사항은 기자협회 등이 해마다 발행하는 책자나 언론재단의 언론인 조회를 통해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런 기초 자료를 얻으려고 ‘언론통제’란 비판을 무릅쓰고 자료수집을 했다는 점은 의문이다.

회신 시점 역시 의문을 증폭시킨다. 박 국장의 문화부 후배 공무원이 언론재단 등에 보낸 자료 회신 기한은 3일로 돼 있지만 이동관 대변인은 “지난 11일에 박 국장이 자료를 받았다”고 말했다. 소속사, 이름, 연락처 등 기초 자료를 구하면서 회신 기한을 일주일여나 넘겼다는 것이다. 그사이 모종의 성향 파악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생기는 대목이다.

■문건 이용목적과 파기 여부도 의문=이동관 대변인은 “박 국장이 인수위 자문위원 추천용으로 문건을 만들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인수위가 박 국장이 회신을 받았다고 밝힌 시점은 11일로 이미 모든 인수위 자문위원이 확정된 상태였다. 또 현직 언론사 간부들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될 가능성도 희박하다. 이 문서가 과연 어디까지 보고됐느냐는 점도 의문이 남는다. 인수위 쪽은 “언론 보도 뒤 자료를 모두 수거해 파기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정식 공문이 아닌 전자우편으로 박 국장에게 회신됐다는 이 문서가 누구에게까지 전파됐는지는 가늠하기 쉽지 않다.


이에 대해 박 국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신상파악 이메일을 문화부 후배 공무원에게) 밤늦게 보내면서 판단력이 흐려졌던 것 같다. 나 혼자 지시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 한겨레 관련기사
▶이명박 당선인 ‘언론통제’ 욕구 작동했나
▶인수위 ‘언론인 성향조사’ 반발 확산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