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1.13 19:31 수정 : 2008.01.14 11:19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서울 종로구 하림각에서 열린 한나라당 국책자문위원회 신년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겉으론 ‘자율’ 강조하나 “언론에 섭섭” 등 평소 강경발언
전문가 “주변 인물들, 당선인 언론정책 대비 기초 작업”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한 전문위원이 언론사 간부 성향을 조사하도록 지시한 사실은, 이명박 당선인이 그동안 밝혀온 언론관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이 당선인은 그동안 언론 자유를 강조하면서 노무현 정부의 취재선진화 방안을 ‘언론 통제’라고 비판해 왔다. 국정홍보처 폐지와 기자실 복원을 약속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인수위는 이번 파문이 “문화관광부에서 파견된 전문위원 개인의 행동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사안의 민감성 때문에 이 당선인의 언론관을 둘러싼 의구심과 논란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당선인의 측근들은 13일 “이 당선인은 기업 시절부터 언론의 혜택을 많이 봤다. 새 정부에서도 정부조직 개편, 한반도 대운하 등 버거운 과제들을 놓고 언론을 통제하거나 적으로 만들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검증’ 공방이 치열했던 대선 기간을 거치면서 특정 언론에 대한 이 당선인의 ‘섭섭함’과 주변 인사들의 반감이 커진 게 사실이다. 이런 것들이 이번 언론사 간부 성향 조사 지시와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 당선인은 “언론에 섭섭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는 말을 자주 해왔다. 서울시장 시절에는 특정 언론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대선 때도 이 당선인 주변에는 언론을 우호, 비우호로 나눠 강경론을 펴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허위 보도에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거나, “문화방송을 민영화시키겠다”는 측근들의 발언이 나온 것도 이런 분위기 속에서다.

이 때문에 이 당선인의 언론 관련 발언과 그 주변 인물들의 강경한 분위기가 확대재생산되면서 이번 사건의 한 배경이 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김서중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이번 사건은 이 당선인이 직접 지시한 것은 아니라고 해도, 주변 사람들이 이 당선인의 언론정책에 대비하기 위해 기초 작업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며 “새 정부의 정책이 국민들에게 어떻게 비치는가를 정확히 파악해서 차분하게 언론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선인의 언론정책 자체가 언론자유나 공정성 확보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이 당선인이 ‘시장주의’를 강조하며 내건 신문·방송 겸영 허용과 신문법 폐지 등은 거대 보수언론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시장논리에 의한 언론정책이 바로 언론자유의 신장과 연결될 것인가는 의문스럽다”며 “여론의 독과점 현상, 보수정부와 보수언론의 유착 가능성, 광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대기업들의 영향력 확대 등 언론자유가 구조적으로 침해받을 수 있는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황준범 이유주현 기자 jaybee@hani.co.kr


■ 한겨레 관련기사
▶파견공무원 혼자서 왜 ‘언론인 성향’ 조사했나
▶인수위 ‘언론인 성향조사’ 반발 확산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