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확대 비서관 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오른쪽은 류우익 대통령실장. 연합뉴스
|
여론악화에 `짚고 넘어가자' 판단한듯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청와대 확대 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각료 인선 파동과 관련, "우리 자체에도 일말의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우회적이긴 하지만 듣기에 따라서는 취임 후 첫 사과로도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이 `책임' 발언을 꺼낸 것은 우선 각료 부실검증 논란으로 국민에게 실망을 안겨준 데 대해 임명권자로서 `오점'을 솔직하게 인정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1명도 아니고 3명의 각료가 취임도 하기 전에 한꺼번에 낙마한 것은 결국 검증이 부실했기 때문이며, 그에 대한 최종 책임은 대통령 자신에게 있다는 것. 한 참모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대통령이 정치권과 국민의 `누더기 조각' 비판을 듣고 있고 인정하고 있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각료 인선 논란에 대한 심경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여러 상황을 염두에 두고 `책임'이란 표현을 썼다는 해석도 나온다. 부실검증과 `코드인사' 논란이 제기되면서 여론이 악화되고, 야당은 물론 4.9총선을 의식한 여당 내부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국정의 발목을 잡고 있는 인사 논란을 매듭짓기 위해서는 대통령이 한 번쯤 직접 나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현재 한나라당 일각에선 "조각 한 번 잘못하는 바람에 서울에서만 (의석수가) 10석은 날아갔다"며 청와대를 향한 불만이 표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간 대통령의 입장표명을 요구해 온 야당의 입장을 감안한 측면도 없지 않아 보인다. 이날 오후 실시될 한승수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준표결을 앞두고 `키'를 쥐고 있는 통합민주당을 달래기 위한 포석이 깔려 있다는 것.그러나 이 대통령의 이날 책임 발언에도 불구, 인사 논란이 진화될 것으로 장담하기는 아직 어렵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통합민주당이 공개적인 대국민 사과와 함께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며 총선 때까지 이 문제를 끌고 갈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일단 `책임론'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정부 인사)자료를 활용하지 못한 점도 있다"며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서 정부 인사자료 접근제한 등으로 인해 검증에 한계가 있었음을 자인했다. 그러면서 "일어난 일에 대해 현실을 탓할 게 아니라 극복하려는 노력과 개선하려는 노력을 해 국민에게 일하는 정부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 탄생한 정부인 만큼 시간을 낭비할 게 아니라 하루라도 일을 해 나가면서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이 대통령은 향후 정책은 물론 인사에 있어서도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것임을 분명히 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인사 파문 역시 `서민감정'을 고려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측면이 있는 만큼 앞으로는 국민의 감정과 쓴 소리를 여과 없이 듣겠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못 듣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청와대 근무하는 비서관들은 현장감각이 떨어지지 않고 국민의 목소리가 안 들리는 일이 없도록 특별히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