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일 3.1절 행사를 끝낸뒤 취임 이후 첫 민생 행보로 서울 근교 중소기업인 (주)케이디파워를 방문, 발전기 시운전을 하고있다. 연합뉴스
|
8일 마트 방문…전공무원 현장참여 독려
이명박 대통령이 `현장 속으로' 뛰어들고 있다. 3.1절 행사 뒤 경기도의 한 중소기업을 방문, 현장 근로자들의 목소리를 들은 데 이어 8일에는 서울의 한 마트를 찾아 물가고 현장을 둘러보기로 한 것. 청와대 측은 "이 대통령이 소비자들과 직접 만나 서민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를 살펴보고 현장 중심의 생생한 물가 대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대통령의 현장 중시 경향은 곳곳에서 묻어난다. 오랜 기업 CEO로서 체득한 실용적 해법 구하기의 한 과정이다. 이 대통령의 현장주의는 행정부 변화의 핵심을 형성해 가고 있다. 기존의 탁상공론식 행정관행에서 탈피하자는 것이 이 대통령의 지론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확대 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국민, 현장과 격리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3일의 새 정부 첫 국무회의에서는 "국무위원들이 바쁘겠지만 주 1회 정도 현장을 방문하면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정책대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거듭 주문하는 등 현장주의 전파의 중심부에 서 있다. 기존 관행을 깨고 정부 각 부처의 업무보고를 청와대 밖에서 받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대통령의 물가 접근법도 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첫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5일에는 "지난번 국무회의 때 보니까 과거의 전통적 방식으로 물가 문제를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물가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지시했다.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현장주의 원칙에 대한 스스로의 실천 의지를 강하게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장.차관을 비롯한 전 공무원들에게 현장 참여를 독려하는 무언의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측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현장주의를 몸소 실천하며 맨 앞에서 진두지휘하고 있는데 그 파급력이 전체 공무원들로 확산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황정욱 기자 hjw@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