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10 14:39 수정 : 2008.03.10 16:32

이명박 대통령이 10일 오전 과천 청사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집권 초반 공직자 기강 세우기에 적극 나서고 있는 청와대에서 사실상 골프 금지령이 내려진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류우익 대통령실장이 최근 한 회의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골프를 치는 수석이나 비서관이 없겠지만..."이라고 `NO 골프'를 선언했다는 후문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 내 수석.비서관은 물론 행정관들도 "당분간 골프는 물 건너갔다"고 채를 접는 분위기가 확연하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실용주의와 경제살리기를 내세워 새벽에 나와 늦은 밤 별을 보면서 퇴근하는 마당에 골프를 치는 것 자체가 사치"라며 "골프를 칠 시간도 없지만 국정을 바짝 조여가는 청와대 기류와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직원은 골프의 `골'자만 나와도 손사래를 치고 있다. "골프는 사절"이라는 게 한결같은 반응이다.

이 같은 골프 금지령이 언제 해제될 지 현재로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다만 이명박 정부가 초기의 불안정성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국정운영의 틀이 잡히게 되면 조금씩 풀리지 않을까 하는 관측 정도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이날 첫 부처별 업무보고를 기획재정부로부터 받으면서 공무원 사회에 대해 강도높은 자성을 요구한 데 비춰 골프 금지령이 당분간은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이 대통령은 "국민이 힘들어도 여러분(공무원)에게는 봉급이 나간다"면서 "1조원이 들어갈 사업에 2조원, 3조원이 들어가도 책임질 사람이 없고 불안해할 사람도 없다. 이런 정신으로 세계가 경쟁하는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또 "새 정부에서는 국민이 아파하는 것을 더 아파하는 심정으로 해야 한다"면서 "내 표현이 심할지 모르지만 위기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공직자의 자세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말하고 있다"고도 했다.


관가에서는 공무원 사회 속성상 청와대의 골프 금지령이 정부 각 부처는 물론 공기업, 산하기관으로 확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청와대발(發) 공무원 기강 잡기의 실체가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황정욱 기자 hjw@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