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07 22:09 수정 : 2008.05.07 22:27

7일 공개된 청와대 비서관 34명의 평균 재산 17억9677만원은 지난달 공개된 대통령실장 및 수석비서관 평균 재산인 35억5652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그러나 절반이 넘는 21명이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고 또 일부 비서관들은 자녀 명의로 부동산과 예금 자산을 다량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부자 청와대’ 논란이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 투기 의혹=김준경 금융비서관은 부동산 투기 의혹을 샀다. 김 비서관은 지난 2005년 충북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의 임야 7547㎡(가액 1335만원)를 당시 21살인 장녀 명의로 취득한 뒤 필지 분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비서관은 “장인과 내가 증여한 자금으로 딸과 처제가 공동으로 땅을 구입했다”며 “매입 과정에 실정법 위반은 없고 증여세도 완납했으며, 투기 목적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 비서관은 또 장녀와 장남(21살)이 각각 2억2395만1천원과 1억9766만5천원 등 모두 4억2161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는데, 이를 두고 편법 증여 의혹이 제기됐다. 김 비서관은 대변인실을 통해 “형이 내 자녀에게 1억원씩 증여했고, 내 아내가 딸에게 적금으로 6200만원을 적립해 왔다”며 “여기에 기타 축하금 등이 쌓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훈 법무비서관은 장남·장녀 명의로 각각 2억3659만6천원, 1억8536만6천원을 예금했는데, 지금까지 증여세를 내지 않다가 이번 재산등록 이후 뒤늦게 자진 납부했다.

또 송종호 중소기업비서관은 경기 의왕시 내손동 재건축 지구에 땅 0.41㎡를 소유하고 있다고 신고해 ‘지분 쪼개기’ 의혹을 샀다. 이에 대해 의왕시 관계자는 “송 비서관이 1991년 이 지역 아파트를 매각하면서 벌어진 등기상의 실수로 보인다”고 밝혔다.

6
■ 고액 신고자=재산 1위는 <문화방송> 앵커 출신인 김은혜 부대변인으로, 97억3155만9천원을 신고했다. 김 부대변인의 신고 재산은 청와대 안에서도 이명박 대통령(355억원), 곽승준 국정기획수석(110억원)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김 부대변인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빌딩 87억9천만원, 강남구 논현동 연립주택 6억1천만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임야 8800만원 등을 남편인 유아무개(미국 변호사)씨 명의로 신고했다.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치동 빌딩은 남편 유씨의 아버지가 1990년 사망한 뒤 상속받은 것이라고 김 부대변인은 설명했다.

재산 2위는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으로 59억3292만원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본인 명의로 서울 여의도와 강남에 상가와 아파트 등 5채의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들 모두 조부 또는 부친으로부터 증여·상속받았다고 밝혔다. 변호사 출신인 강훈 비서관은 47억5014만1천원으로 3위에 올랐다. 반면, 노연홍 보건복지비서관은 1억8426만원을 신고해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른바 ‘실세 비서관’으로 불리는 김백준 총무비서관과 박영준 기획조정비서관은 각각 21억2464만9천원, 11억2753만7천원을 신고했다. 특히 박 비서관은 지난해 5월 서울 용산구 신계동 재개발 지역에서 공시지가 7억3천만원 상당의 대지와 무허가 주택을 사들였는데, “등록대장에 등재돼 재산세를 납부했고, 시세차익을 본 것도 없다”고 박 비서관 쪽은 해명했다.


■ 예금과 주식=비서관들은 건물 재산 평균액이 13억4006만원으로 재산이 주로 부동산에 몰려 있었지만, 예금과 주식도 눈에 띈다. 김태효 비서관(28억7790만원), 강훈 비서관(24억1043만원), 장용석 민정1비서관(16억4075만원), 김은혜 부대변인(14억7582만원) 등이 10억원대 이상의 예금을 갖고 있다.

비서관들은 또 평균 1억1022만원 상당의 주식을 보유했으나, 최근 대부분 매각하거나 직무연관성 심사를 청구한 상태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황준범 길윤형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