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주요일정
|
‘3~4명 최소 교체’ 버티다 일괄사표
물가대응 등 총체적 정국 수습책 마련 관심
청와대의 시국수습책이 짙은 안개 속으로 들어갔다. 6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전원이 일괄사표를 제출하면서 수습안을 마련할 참모 조직부터가 흔들릴 가능성 때문이다.
■ 쇠고기 문제 시국상황 악화에 따라 이제는 청와대에서도 “재협상 외에 길이 없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지금 당장 굶어죽게 생겼는데, 내년 끼니 걱정 할 때냐. 국민이 원하는 대로 하는 게 정치”라며 “이번에는 타이밍을 안 놓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국민들이 잘사는 것보다 행복하게 사는 걸 원한다면 그걸 따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목소리는 현재로선 정무·공보 라인을 중심으로 한 소수 의견에 그친다. 정작 쇠고기 협상 주무인 외교안보와 경제수석실에선 여전히 ‘재협상 불가론’이 완강하다. 외교안보수석실 관계자는 “국민들이 원하는 대로 하려면 청와대가 ‘반미’를 하는 수밖에 없다”며 “그러나 일방적인 ‘재협상’ 선언이 ‘재협상’이라는 결과물을 낳을 수도 없고, 그 과정에서 야기되는 국익 손실은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반박했다.
이런 가운데 향후 정치 일정은 더욱 험난하기만 하다. 6·10 기념일, 효순·미선 6주기(6·13), 민주노총의 총파업(가결될 경우 16일) 등이 기다리고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도 6월 중순 이전에는 정국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희망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7월 초에는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답방도 예정돼 있다. 그때까지 시국의 가닥이 잡히지 않으면 부시 대통령의 답방 자체가 흔들릴 가능성을 청와대 일각에선 걱정한다.
■ 인적 쇄신 문제 인적 쇄신은 장관과 청와대 수석급 3~4명을 교체하는 선으로 한동안 가닥이 잡혀 있었다. 그러다가 한나라당에서 ‘거의 조각 수준의 대폭’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쇄신의 폭 자체가 불투명한 쪽으로 흘러갔다.
여기에는 어설프게 ‘3~4명’을 내놓았다가 역풍만 부를 가능성을 청와대가 염려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쇄신 폭이 커지면서 청와대 참모 자신들도 함께 휩쓸려 떠내려갈 가능성을 피하려는 고려도 엿보였다. 청와대 쪽이 “장관들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데, 국회가 개원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해온 것도 이런 맥락이다.
그러나 6일에 이르러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은 결국 일괄사표를 제출하게 된다. 더 버티기에는 시국의 무게가 엄중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 경제 문제 정부는 8일 당정협의회를 통해 고유가 문제를 비롯한 서민경제 안정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쇠고기 해법이나 인적 쇄신이 마땅치 않은 가운데, 우선 서민경제 측면의 불이라도 끄고 보자는 판단 때문이다. 청와대는 최근의 민심동요 이면에 경제적 요인이 매우 짙게 깔린 것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최근 경제난이 고유가, 원자재·곡물가 상승 등 주로 국외변수에 의한 것이라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을 청와대는 고민한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