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0.31 19:13 수정 : 2008.11.01 01:07

이명박 대통령

금융위기 초기 징후 때 언질…두달째 ‘조용’
“언제·어떤 펀드 들었는지 알리지 말라” 지시

청와대가 “펀드를 사겠다”고 한 이명박 대통령(얼굴)의 ‘공언’과 관련해 구체적인 실행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31일 “최근 들어 이 대통령의 펀드 가입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다”며 “조만간 펀드에 가입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최근 정부가 장기 펀드에 세금 감면 혜택을 주겠다고 밝힌 것에 맞춰 이 대통령도 장기 적립식 펀드에 가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국내 공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애초 금융위기 초기징후가 나타나던 지난 9월17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나는 직접 투자가 불가능하지만 간접투자 상품(펀드)이라도 사겠다”고 밝혔으나, 후속 움직임이 없어 궁금증을 자아내왔다. 그런데 최근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계약 체결로 외환위기설이 일단 가라앉음에 따라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스와프 계약에 이어 증시와 실물경제 활성화에 주력할 수 있게 된 지금이 ‘대통령 펀드 가입’ 카드를 구사할 타이밍이라는 이야기다. 이 대통령은 지난 30일 언론사 경제부장들과 오찬에서도 “주가가 올랐다고 일희일비해선 안 된다”며 “분명한 것은 지금은 주식을 살 때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펀드에 가입하더라도 언제, 무슨 펀드에 가입했다고 발표하지 말라”고 참모들한테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펀드 가입 사실이 시장 회복에 순기능을 할 수 있지만, 이른바 ‘이명박 펀드’에 투자가 몰리면서 시장 왜곡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사람들은 주가나 펀드 수익률이 떨어질 가능성도 부담스러워 한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