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0.01.28 20:33
수정 : 2010.01.28 22:14
|
이명박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스위스의 다보스 콩그레스 홀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단독 특별연설을 하고 있다.
다보스/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
“금융위기뒤 새 패러다임에 초점”
이명박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각)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고 있는 제40회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특별연설을 통해,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릴 제5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의 방향과 의제를 제시했다. 2008년 11월 워싱턴에서 시작한 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그동안 당면한 세계 금융위기 극복에 주력해 왔다면, 서울 회의에서는 위기 이후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착 방안에 초점을 두겠다는 게 이날 이 대통령 연설의 얼개다. 금융 개혁과 국가간 불균형 해소, 민간의 역할 강화 등이 그것이다.
이 대통령은 서울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신흥경제국과 개발도상국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국제 자본 흐름의 급격한 변동성으로 인해서 각국이 과다하게 외환보유고를 축적하고 있다”며 “이에 따른 신흥경제국과 개도국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을 주요 의제로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흥경제국과 개도국이 환란에 대비해 필요 이상으로 외환을 확보하는 데 열 올리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지난해 한국이 미국, 중국, 일본과 각각 통화스와프를 맺었던 것처럼 양자 또는 지역 내 금융 협력체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또 이 대통령은 금융규제·감독체제 개혁과 국제 금융기구 개편을 강조하면서 “최근 들어 더욱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 대규모 금융기관의 ‘투 빅 투 페일’(대마불사)에 대해 더욱 심도 있는 논의와 대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대형 금융기관들의 규모 확대를 억제하고 위험도가 높은 자기자본투자를 금지하는 내용의 금융산업 개혁안을 추진하는 데 호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연설 뒤 클라우스 슈바프 다보스포럼 회장과의 문답에서 “이번 경제위기에 금융기관들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위기 대응에 금융산업 종사자들이 수동적으로 대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변화의 안을 제시하는 게 정부가 주도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또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서울 회의 과정에 세계 유수 기업인들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서밋’ 개최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서울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때 참가국의 1~20위 기업인들이 모이는 가칭 ‘B20’ 회의를 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다보스/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