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2일 오전 전국 21개 마이스터고 개교식이 열린 개포동 수도전기공고에서 도착, 안병만 교육과학부장관과 함께 현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김종수 기자
|
청와대-총리실 지난달초 국민투표 문제 집중논의
여권 핵심 “가능성 낮다” “죽은카드 아니다” 갈려 청와대와 여권 핵심 인사들의 말을 종합하면, 이 대통령이 세종시 국민투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정부가 1월11일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한 뒤 여론과 박근혜 전 대표 쪽의 장벽에 막혀 세종시의 진로가 보이지 않던 1월 말에서 2월 초 사이에 국민투표 문제가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한 핵심 인사는 “정 총리가 당내 세종시 논의가 지지부진하면 국민투표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고, 이 대통령도 ‘고민해 보자’는 정도의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국민투표라는 민감한 문제를 쉽게 결론 내릴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국민투표가 고려되는 이유는 이것만이 세종시 수정안을 확실하게 관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 쪽이 세종시 수정에 완강하게 반대하는 상황에서 한나라당 중진협의회가 합의안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적은데다, 수정안이 강제 당론으로 채택돼 국회에 넘어가더라도 국회 상임위와 본회의를 통과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 국회에서 수정안이 가결되더라도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세종시 문제가 또다시 정치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국민투표밖에 해법이 없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이 대통령이 국민투표를 실행에 옮길 가능성은 낮다는 게 청와대 다수 참모의 얘기다. 세종시가 국민투표 대상이 되는지부터 헌법소원이 제기될 가능성, 극심한 국론 분열, 정권 심판 성격의 정치적 부담감 등 장벽이 많다는 것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세종시는 국정의 일부분일 뿐’이라고 말해놓고 세종시 국민투표에 모든 것을 걸겠다는 것은 실용주의 노선에도 안 맞고, 이 대통령 스타일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청와대와 여권 핵심인사들은 “국민투표의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완전히 죽은 카드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말도 미묘하다. 이 대통령의 세종시 수정 의지가 확고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한나라당의 논의 결과와 국민투표 실시에 대한 국민 여론 등에 따라 ‘아이디어’가 ‘현실’이 될 가능성은 여전히 살아 있는 셈이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기사공유하기